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사진등록

상세검색

상세검색 옵션

상세 검색


등록일
~
통합검색

그룹별 보기

국내 전체보기

선택 결과

Loading...

글 요약정보

No.

208882

제목

설곡시고
雪谷詩藁

지역

서울특별시 > 중구 > 태평로
Seoul > Jung-gu > Taepyeongno > 中區 > 太平路

올린이
등록일

주**
2019.04.15

사진 목록

글 내용

키워드,백과사전 항목보기
사진 설명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관판본

수량/면적

2권1책

지정(등록)일

1981.03.18

소 재 지

서울 중구

시 대

고려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조***

관리자(관리단체)

조***


『설곡시고(雪谷詩藁)』는 고려 후기 문신이었던 정포(鄭誧 1309∼1347)의 개인 시집이다. 정포 선생은 문과에 급제하여 좌사의대부의 벼슬을 지냈으나 37세의 나이로 목숨을 다하였다. 시와 글짓기에 뛰어났으며, 글씨로도 이름이 높았다.

시집에는 이제현(李齊賢)과 이색(李穡)의 서(序)가 있었는데 이 책에는 첫머리의 6장이 떨어져서 서(序)의 부분이 다 없어졌으나 『익재난고(益齋亂稿)』와 『목은문고(牧隱文稿)』에 다 실려 있으므로 그 내용을 알 수 있으며, 책 끝에 안동대도호부사 이방한(安東大都護府使 李邦翰)의 발(跋)에 의하면 포(誧)의 아들인 공권(公權)(초명:추(初名:樞))이 선친의 유고를 정리하여 굉찬사(宏贊師)에 부착하여 고려 우왕(禑王) 2년(1376)에 판각한 것에서 찍은 후쇄본(後刷本)이다. 

책머리 서문 다음에 정포의 시와 글씨 등이 1, 2권으로 나누어 수록되어 2권 1책으로 만들어졌다. 책끝에는 이방한이 쓴 발문에 홍무(洪武)의 무(武)자가 빠져있는데 이것은 고려 혜종의 이름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고려본에서 흔히 보이는 특징의 하나이다. 현재 이 책은 서문에서 본문 6장까지는 누락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의 작품은 고려시대 이색의 글에서 평가하였듯이 간결하고 우아하며 옛스러운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개인 가문에서 발간한 책이라 글자새김이 뛰어나지 못하고, 글자가 많이 깎여 나간 편이며, 인쇄가 깨끗하지 못하다. 그러나 고려 후기에 발간된 시집으로서 희귀본이며, 문헌학 연구와 고려문학 연구에 아주 귀중한 자료이다.

※ 본 저작물은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로, 해당 저작물은 문화재청 누리집(홈페이지)(http://www.heritage.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보물 제709호,문화재청,설곡시고,雪谷詩藁

백과사전
항목보기

설곡시고

지도

Comments

코멘트쓰기

(0/500 Byte)

키워드 수정

키워드 구분은 쉼표(,)입니다.

큰 지도 보기

설곡시고

雪谷詩藁

분류
서울특별시 중구 태평로
Seoul Jung-gu Taepyeongno
中區 太平路
올린이
등록일
주선아
2019.04.15
내용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관판본

수량/면적

2권1책

지정(등록)일

1981.03.18

소 재 지

서울 중구

시 대

고려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조***

관리자(관리단체)

조***


『설곡시고(雪谷詩藁)』는 고려 후기 문신이었던 정포(鄭誧 1309∼1347)의 개인 시집이다. 정포 선생은 문과에 급제하여 좌사의대부의 벼슬을 지냈으나 37세의 나이로 목숨을 다하였다. 시와 글짓기에 뛰어났으며, 글씨로도 이름이 높았다.

시집에는 이제현(李齊賢)과 이색(李穡)의 서(序)가 있었는데 이 책에는 첫머리의 6장이 떨어져서 서(序)의 부분이 다 없어졌으나 『익재난고(益齋亂稿)』와 『목은문고(牧隱文稿)』에 다 실려 있으므로 그 내용을 알 수 있으며, 책 끝에 안동대도호부사 이방한(安東大都護府使 李邦翰)의 발(跋)에 의하면 포(誧)의 아들인 공권(公權)(초명:추(初名:樞))이 선친의 유고를 정리하여 굉찬사(宏贊師)에 부착하여 고려 우왕(禑王) 2년(1376)에 판각한 것에서 찍은 후쇄본(後刷本)이다. 

책머리 서문 다음에 정포의 시와 글씨 등이 1, 2권으로 나누어 수록되어 2권 1책으로 만들어졌다. 책끝에는 이방한이 쓴 발문에 홍무(洪武)의 무(武)자가 빠져있는데 이것은 고려 혜종의 이름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고려본에서 흔히 보이는 특징의 하나이다. 현재 이 책은 서문에서 본문 6장까지는 누락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의 작품은 고려시대 이색의 글에서 평가하였듯이 간결하고 우아하며 옛스러운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개인 가문에서 발간한 책이라 글자새김이 뛰어나지 못하고, 글자가 많이 깎여 나간 편이며, 인쇄가 깨끗하지 못하다. 그러나 고려 후기에 발간된 시집으로서 희귀본이며, 문헌학 연구와 고려문학 연구에 아주 귀중한 자료이다.

※ 본 저작물은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로, 해당 저작물은 문화재청 누리집(홈페이지)(http://www.heritage.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맨 마지막 사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