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사진등록

상세검색

상세검색 옵션

상세 검색


등록일
~
통합검색

그룹별 보기

국내 전체보기

선택 결과

Loading...

글 요약정보

No.

209081

제목

청룡사영산회괘불탱
靑龍寺靈山會掛佛幀

지역

경기도 안성시 청룡길 140

올린이
등록일

여**
2019.04.15

사진 목록

글 내용

키워드,백과사전 항목보기
사진 설명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1폭

지정(등록)일

1997.08.08

소 재 지

경기 안성시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청***

관리자(관리단체)

청***

 

석가가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한 영산회상괘불로,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 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대형 불교 회화를 말한다. 

이 영산회상도는 석가불을 중심으로 6대 보살, 10대 제자 등이 에워싼 모습인데, 중앙의 석가불은 머리에서 빛이 나고 특이하게도 오른손은 어깨 위로 들고 왼손은 무릎에 올린 시무외인의 손모양을 하고 있으며, 다리는 결가부좌한 모습이다. 관을 쓴 제석천, 면류관에 홀을 든 범천상, 책과 연꽃·정병 등을 들고 있는 6명의 보살 등이 석가 주변을 에워싸고 있다. 석가 위로는 여러 제자들과 부처의 수호신인 4명의 금강역사상이 있고, 그림의 맨 윗부분에는 여러 불상들이 작게 그려져 있다. 주로 진한 붉은색과 청색이 많이 사용되었고 복잡한 구도로 인해 무거운 느낌이 들지만 윗부분에서 보여주는 화려함과 아랫부분의 무늬로 인해 여유있어 보인다. 

이 그림은 효종 9년(1658)에 승려화가인 명옥 등이 그린 것으로 본존의 크기가 매우 컸던 고려말∼조선초의 그림과는 달리 본존인 석가불이 작아져 상대적으로 주변 인물의 크기와 비슷해진 그림으로, 17세기 중엽 영산회상도를 대표할 만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 본 저작물은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로, 해당 저작물은 문화재청 홈페이지(http://www.heritage.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문화재청,靑龍寺靈山會掛佛幀,청룡사영산회괘불탱,보물 제1257호,청룡사 영산회괘불탱

백과사전
항목보기

지도

Comments

코멘트쓰기

(0/500 Byte)

키워드 수정

키워드 구분은 쉼표(,)입니다.

큰 지도 보기

청룡사영산회괘불탱

靑龍寺靈山會掛佛幀

분류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Gyeonggi-do Anseong-si Seoun-myeon
京畿道 安城市 瑞雲面
올린이
등록일
여선주
2019.04.15
내용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1폭

지정(등록)일

1997.08.08

소 재 지

경기 안성시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청***

관리자(관리단체)

청***

 

석가가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한 영산회상괘불로,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 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대형 불교 회화를 말한다. 

이 영산회상도는 석가불을 중심으로 6대 보살, 10대 제자 등이 에워싼 모습인데, 중앙의 석가불은 머리에서 빛이 나고 특이하게도 오른손은 어깨 위로 들고 왼손은 무릎에 올린 시무외인의 손모양을 하고 있으며, 다리는 결가부좌한 모습이다. 관을 쓴 제석천, 면류관에 홀을 든 범천상, 책과 연꽃·정병 등을 들고 있는 6명의 보살 등이 석가 주변을 에워싸고 있다. 석가 위로는 여러 제자들과 부처의 수호신인 4명의 금강역사상이 있고, 그림의 맨 윗부분에는 여러 불상들이 작게 그려져 있다. 주로 진한 붉은색과 청색이 많이 사용되었고 복잡한 구도로 인해 무거운 느낌이 들지만 윗부분에서 보여주는 화려함과 아랫부분의 무늬로 인해 여유있어 보인다. 

이 그림은 효종 9년(1658)에 승려화가인 명옥 등이 그린 것으로 본존의 크기가 매우 컸던 고려말∼조선초의 그림과는 달리 본존인 석가불이 작아져 상대적으로 주변 인물의 크기와 비슷해진 그림으로, 17세기 중엽 영산회상도를 대표할 만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 본 저작물은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로, 해당 저작물은 문화재청 홈페이지(http://www.heritage.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맨 마지막 사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