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사진등록

상세검색

상세검색 옵션

상세 검색


등록일
~
통합검색

그룹별 보기

국내 전체보기

선택 결과

Loading...

글 요약정보

No.

313306

제목

회야댐 생태탐방로
回夜-生態探訪

지역

울산광역시 > 울주군 > 청량읍 > 동천리
Ulsan > Ulju-gun > Cheongnyang-eup > Dongcheon-ri
蔚山廣域市 > 蔚州郡 > 靑良邑 > 東川里

올린이
등록일

최**
2014.08.25

사진 목록

글 내용

키워드,백과사전 항목보기
사진 설명

회야댐 생태탐방로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동천리에 있는 회야댐은 울산시민들의 식수와 공업단지의 용수를 공급하는 곳으로 유역면적 127, 홍수위 33.27m, 만수위 30m, 저수위 21.5m, 저수총량 1,710, 유효량 1,330, 그리고 용수공급량은 4,400입니다.

 

회야댐 회돌이강변은 원을 그리는 형상의 산과 물이 태극 형상을 띠고 있는 감입곡류형 지형입니다.

 

습지에 추가적인 경비를 들이지 않고 자연환경을 최대한 활용하여 자연 친화적인 수생식물 단지를 만들어 상수 원수 수질을 개선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회야댐 통천초소에서 노방들 1,2차 습지까지 왕복 약 4km의 저수지 길을 둘러보며 연, 갈대, 부들, 물냉이 같은 습지의 수생식물 40여종이 수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 느낄 수 있는 생태탐방코스입니다.

 

예전 고종 때 '통새미'라 불렸던 통천리가 있던 곳으로 1986년 화야댐 건설로 주변마을(청량면 중리, 신전, 신리마을)과 함께 150가구, 700여명이 보상과 철거로 울산 남구 옥동과 무거동으로 이주하였으며 지금은 자원서원만 남아 있습니다.

개방기간 : 2014년 7월 21일 ~ 8월 22일

 

자암서원은 통천마을 철거 이후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유일한 건물이며 1804(순조4) 연안차씨 주도로 세워졌으며,

1868
(고종 5) 전국 서원 철폐령에 의해 철폐되었다가 1919년 차씨 문중에 의해 다시 복원되어 주로 통천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자녀학습장소인 서당으로 이용 된 곳입니다.

키워드

회야댐 생태탐방로, 회야댐 생태습지, 동천리, 청량면

백과사전
항목보기

지도

Comments

코멘트쓰기

(0/500 Byte)

키워드 수정

키워드 구분은 쉼표(,)입니다.

큰 지도 보기

회야댐 생태탐방로

回夜-生態探訪

분류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동천리
Ulsan Ulju-gun Cheongnyang-eup Dongcheon-ri
蔚山廣域市 蔚州郡 靑良邑 東川里
올린이
등록일
최강호
2014.08.25
내용

회야댐 생태탐방로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동천리에 있는 회야댐은 울산시민들의 식수와 공업단지의 용수를 공급하는 곳으로 유역면적 127, 홍수위 33.27m, 만수위 30m, 저수위 21.5m, 저수총량 1,710, 유효량 1,330, 그리고 용수공급량은 4,400입니다.

 

회야댐 회돌이강변은 원을 그리는 형상의 산과 물이 태극 형상을 띠고 있는 감입곡류형 지형입니다.

 

습지에 추가적인 경비를 들이지 않고 자연환경을 최대한 활용하여 자연 친화적인 수생식물 단지를 만들어 상수 원수 수질을 개선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회야댐 통천초소에서 노방들 1,2차 습지까지 왕복 약 4km의 저수지 길을 둘러보며 연, 갈대, 부들, 물냉이 같은 습지의 수생식물 40여종이 수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 느낄 수 있는 생태탐방코스입니다.

 

예전 고종 때 '통새미'라 불렸던 통천리가 있던 곳으로 1986년 화야댐 건설로 주변마을(청량면 중리, 신전, 신리마을)과 함께 150가구, 700여명이 보상과 철거로 울산 남구 옥동과 무거동으로 이주하였으며 지금은 자원서원만 남아 있습니다.

개방기간 : 2014년 7월 21일 ~ 8월 22일

 

자암서원은 통천마을 철거 이후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유일한 건물이며 1804(순조4) 연안차씨 주도로 세워졌으며,

1868
(고종 5) 전국 서원 철폐령에 의해 철폐되었다가 1919년 차씨 문중에 의해 다시 복원되어 주로 통천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자녀학습장소인 서당으로 이용 된 곳입니다.

맨 마지막 사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