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Doopedia Pick!똑똑한 콘텐츠
미군정청 경무국 창설을 기념하는 법정기념일,
생활 지역
미군정청 경무국 창설을 기념하는 법정기념일, 경찰의 날
건국·구국·호국 경찰로서 역경과 시련을 극복한 경찰사를 되새기고, 선진조국 창조의 역군으로서 새로운 결의를 다지기 위해 제정한 법정기념일.
1945년 10월 21일, 미 군정청 산하 경무국이 창설된 이래 건국·구국·호국 경찰로서 역경과 시련을 극복한 경찰사를 되새기고, 선진조국 창조의 역군으로서 새로운 결의를 다지기 위해 제정한 법정기념일이다. 매년 10월 21일이며, 1948년 처음으로 기념행사를 가진 이후 1957년 11월, 내무부 훈령에 따라 이날을 '경찰의 날로' 지정하였고, 1973년 '각종 기념일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정부 주관 기념일로 확정되어 오늘에 이른다. 기념식 행사는 모든 경찰공무원 및 관계기관이 참석해 민주경찰의 사명감을 고취할 수 있는 내용을 위주로 진행한다. 크게 중앙행사와 지방행사로 구분되며, 중앙행사는 보통 세종문화회관 대강당에서 열리지만 일정하지는 않다. 또 민생치안 및 사회 안전보장 확보에 공이 많은 경찰공무원 또는 관련 유공자들을 대상으로 훈장·포장·표창 등을 수여하고, 한 해 동안 실적이 우수한 경찰관서를 선정해 대통령 표창을 함께 수여한다. 지방행사는 지방경찰청을 중심으로 각 경찰관서에서 별도로 행하며, 지속적인 개혁을 통해 국민의 경찰로 거듭날 것을 다짐하는 한편, 지역 치안 유지와 부정부패 추방, 건전한 사회풍토 진작 등 치안행정 발전에 이바지한 지역민들이나 단체에게 감사장을 수여하기도 한다.
지금, 이런 지식 어때요? 최신 지식 콘텐츠
체포된 피의자의 얼굴을 촬영한 사진,
사회과학
체포된 피의자의 얼굴을 촬영한 사진, 머그샷
체포된 피의자의 얼굴을 촬영한 사진.
머그샷(mugshot)의 정식 명칭은 'police photograph'로, 경찰에 체포된 피의자를 식별하기 위해 촬영한 얼굴 사진을 말한다. 보통 이름·생년월일·사건번호 등이 적힌 판을 들고, 얼굴의 정면과 측면을 촬영한다. 머그샷은 피의자의 신원에 대한 자료를 기록하고 목격자나 피해자에게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원래 머그(mug)는 손잡이가 달린 큰 컵을 가리킨다. 17~18세기에 머그잔에 사람 얼굴 모양의 부조를 장식하는 것이 유행했는데, 이후 머그라는 단어가 얼굴(face)을 가리키는 속어로 사용되었고, 머그샷이라는 용어는 여기서 유래하였다. 머그샷의 공개 여부는 국가별로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 미국, 캐나다, 영국, 일본 등에서는 수사기관이 피의자의 머그샷을 공개하기도 한다. 특히 미국에서는 범죄의 종류, 피의자 국적, 유죄 판결 여부와 관계없이 경찰에 체포된 시점에 범죄 혐의자의 머그샷을 촬영하고 일반에게 공개한다. 반면, 우리나라는 머그샷 공개를 제한하는 나라 중 하나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인권 보호의 차원에서 일반적으로 머그샷을 비공개하며, 탈옥이나 재범 등의 특별한 경우에만 공개하고 있다.  한편, 국립국어원에서는 '머그샷 제도'를 대체할 순우리말로 '피의자 사진 공개 제도'를 선정한 바 있다.
길 위에서 만난 세상지구촌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