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새 여행기 작성
새 여행기 작성

중국 내 주요 도시의 박물관, 기념관을 돌아보는 뮤지엄 투어
#21. 무한박물관 (2)
무한박물관은 1986년 조성되기 시작했으며, 2001년에 지금의 신관이 완성되어 대중에 공개되었다. 또한 2008년 5월에 시급 박물관으로는 드물게 국가1급 박물관으로 지정되기도 하였다. 총건축면적은 17,834㎡이고, 전시관 면적은 6000㎡이며, 수장고 면적은 4000㎡ 규모이다.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활용한 화강암 벽체로 구성되어 있고, 피라미드 모양으로 유리 지붕은 삼각형이다.
무한 근현대 역사 진열관. 무한박물관. 2023 Ⓒ 김동하.
태평천국의 난(1851-1864) 당시 홍수전의 무한 점령도와 대표. 무한박물관. 2023 Ⓒ 김동하.
19세기 무한무기창에서 생산된 총포. 무한박물관. 2023 Ⓒ 김동하.
무한박물관의 소장 유물은 10만점에 달하며, 광범위하게 중국 고대 청동, 도자기, 옥기, 서예, 회화, 인장, 조각, 명·청대 가구(明淸家具), 화폐, 문헌 등 문물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호북성의 수도인 무한의 시작과 발전 모습을 시기별로 전시하고 있다. 기원전 상나라(B.C.1600-B.C.1046) 판룽청(盘龙城) 유적지에서 출토된 청동기인 수면문 십자공 청동준(兽面纹十字孔青铜尊·괴물 문양 십자구멍 청동 술그릇)은 무한박물관에서 볼 수 있는 국보급 유물 중 하나이다.
아편 흡연 파이프와 도구들. 무한박물관. 2023 Ⓒ 김동하.
무한시 역시 개항 후, 서양 문물과 함께 아편이 쏟아져 들어왔음.
한커우 개항후 조계지 모습. 무한박물관. 2023 Ⓒ 김동하.
미국영사관, 독일경찰국, 프랑스 조계공부국, 영국공부국. 1863년에 러시아 상인이 무한의 첫 번째 외국기업인 차(茶) 공장 설립. 뒤이어 1872년 영국 상인도 차공장 설립. 이후 무한시는 유럽을 향한 차 가공 및 수출 기지로 부상함.
무한 조계 시절(20C) 러시아와 미국이 무한에서 발행한 화폐. 무한박물관. 2023 Ⓒ 김동하.
양무운동은 1861년부터 1894년까지 중국 청(淸) 나라에서 진행된 자강(自强) 운동이다. ‘양무(洋務)’란 다른 나라와의 외교 교섭에 관한 사무를 뜻하는 말이지만, 서양의 문물과 기술을 받아들인다는 뜻으로 쓰였다. 따라서 양무운동이란 서양의 문물을 받아들여 군사적 자강과 경제적 부강을 이루려 했던 여러 정책들과 사회적 변동들을 나타낸다. 청(淸)의 동치제(同治帝, 1856-1874) 때 시작해 광서제(光緖帝, 1871-1908) 재임기까지 전개되었다. 초기에는 군사력 증강을 위해 군수 공업의 육성에 중점을 두고 전개되었지만, 1870년대 이후에는 광공업이나 교육 등 다른 부문까지 근대적 개혁이 확산되었다. 청 나라 정부와 관료들은 아편전쟁과 태평천국을 겪으면서 서양의 근대적 무기의 우수함을 인식하였다.
청말기 양무운동의 본산지로 변신한 무한 모습과 장지동 인물상. 무한박물관. 2023 Ⓒ 김동하.
장지동(張之洞. 1837-1909)은 청나라 관리로 1884년에 광동·광서 총독, 1889년에 호북·호남 총독을 역임했다. 그가 주도하여 한양철창(제철소), 호북총포창, 면포·실크·마·방직 사국(四局)을 무한시에 건설하고 양무운동을 주도 하였다.
청대 한커우 관청 토지계약서. 무한박물관. 2023 Ⓒ 김동하.
청대 계량기(포목-길이. 양곡-무게). 무한박물관. 2023 Ⓒ 김동하.
때문에 양무운동에서 가장 먼저 추진된 것은 근대적 군수 공업의 육성이었다. 1865년 상하이에 강남제조총국(江南製造總局), 난징에 금릉기기국(金陵機器局)이 설립되었고, 1867년에는 톈진에 천진기기국(天津機器局)이 만들어졌다. 서양식 총포, 탄약, 선박을 제조하는 군수공장들이 만들어져 1894년까지 전국에 모두 24개의 공장이 세워졌다. 양무운동은 1870년대 이후 교육과 교통, 광공업 등의 부문으로 확산되었다. 방직·제사(製絲)·제지 등의 민생 공업 분야에서 상해기기직포국(上海機器織布局), 무창기기직포국(武昌機器織布局), 호북방적국(湖北紡績局) 등의 기업이 설립되었다. 양무기업들은 관이 주체가 되어 운영하는 관판(官辦)도 있었지만, 관의 후원과 감독 아래 상인들이 자본을 모아 경영하는 관독상판(官督商辦)이 일반적이었다.
무한수력발전공사(1906년 창설) 주식, 1910년대(청대) 화폐 동전. 무한박물관. 2023 Ⓒ 김동하.
무한기계창에서 사용하던 1920년대 제조된 영국산 선반(밀링 머신). 무한박물관. 2023 Ⓒ 김동하.
무창봉기(1911.10.10) 전시물. 무한박물관. 2023 Ⓒ 김동하.
장강 중류에 위치한 무한 지역에서는 기원전 8천년- 기원전 6천년간 신석기 유물이 동호 방잉타이(东湖放鹰台) 유적지에서 출토되어 상고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하고 있었다. 상나라 때에는 방국(方国) 궁성이 무한에 있었으며, 춘추전국시대에 무한은 초나라 관할이었다. 무한이 독립된 행정구역에 포함되기 시작한 시점은 서한(B.C.202-A.D.8) 시대이며, 동한 시대에 이르러 여러 성이 축조 되었다. 동오 시대(223년)에는 무한의 랜드마크 중 하나인 황학루가 등장하게 된다. 수나라와 당나라에 이르러서는 장강 중류에 위치한 중요한 교역 중심 도시로 부상했다. 남송, 북송 시대에는 군사적으로 중요한 요충지로 부상하여 군 기지가 구축되었으며, 명나라에 이르러서 무한시는 구성통구(九省通衢) 즉 9개의 성으로 둘러 쌓인 물류·자원(교통·경제)의 중심지로 부상하게 된다.
중화민국 탄생과 쑨원 관련 전시물. 무한박물관. 2023 Ⓒ 김동하.
북양군벌 무한통치 기간(1912-1937) 관련 전시물. 무한박물관. 2023 Ⓒ 김동하.
우한시는 후베이성의 성도(省會)로서 화중지역의 정치·경제·사회 중심 도시이다. 창장(长江)과 한장(汉江)의 교차점으로 창장평원의 동쪽에 자리 잡고 있다. ‘아홉 개 주의 통로’로 불리는 우한은 많은 철로와 도로, 고속도로가 통과하는 교통 요지이다. 팬데믹 초기, 이러한 우한의 특징으로 COVID-19 바이러스가 짧은 시간 내에 중국 전역에 파급되었다는 평가도 있었다. 13개 시직할구로 구성되어 있는 우한시의 면적은 8,494km2이고, 인구는 1,377만 명에 달한다.
1930년대 무한시 호황기 전시물. 무한박물관. 2023 Ⓒ 김동하.
호북성 여자 사범학교 졸업장(1930), 국민당 중앙정치회의 무한분회 월보(1929). 무한박물관. 2023 Ⓒ 김동하.
우한은 창장 중상류 지역에 위치해 예로부터 수로 교통이 발달해 상업무역이 번성했다. ‘십 리에 걸쳐 돛이 늘어서 있고 수만 개 가게 등불로 불야성을 이룬다’는 말로 우한을 묘사했을 정도다. 특히 우한은 청조 말 양무운동 이래 공업중심지로 집중 육성됐다. 톈진조약에 따라 한커우항이 개방된 이후 외국 조계지가 들어서면서 더욱 번영을 구가했다. 중국 최고 철강기업과 군수기업인 한양철강, 한양군수기업이 세워졌으
며, 우한은 상하이와 함께 제2의 상업금융중심지로 불렸다. 외국인들 사이에서는 ‘동
방의 시카고’로 불렸다. 1911년 10월 신해혁명의 도화선이 된 우창봉기가 발발하며 우한은 한때 중국의 혁명중심지였다.
1928년에 개교한 무한대학 관련 전시물. 무한박물관. 2023 Ⓒ 김동하.
1913년에 설립된 국립무창중산대학을 개편한 것이 지금의 무한대학임.
20세기초 무한 생활상 모습. 무한박물관. 2023 Ⓒ 김동하.
상하이가 조계(租界) 설치의 시작이었다면 제2차 아편전쟁(1856년) 패배 후 우한시에도 조계가 설치되기 시작했다. 1858년 청나라는 톈진조약을 영국, 러시아, 프랑스, 미국과 체결하고 한커우(지금의 무한)를 비롯한 10개 항구(잉커우, 옌타이, 타이완, 산터우, 해남도, 지우장, 난징, 차오저우 등)를 대외 개방하기로 한다. 1861년에 영국 관료는 한커우에 도착하여 조계 설치를 위한 협상에 나선다. 1898년에 이르러 영국은 ‘전계조약’을 청나라와 체결하고 한커우 장강 수변 22.46ha 에 영국 조계를 설치하였다. 이 시기를 전후하여 러시아(1896년, 27.6ha), 프랑스, 독일, 일본(1898년 41.46ha), 벨기에(1897년, 40ha) 등도 하나우 장강 수변을 따라 조계를 설치하였다.
1930년대 무한의 항일 투쟁 관련 전시물. 무한박물관. 2023 Ⓒ 김동하.
인민해방군(공산당)의 무한 해방(1949.5.16) 모습 전시물. 무한박물관. 2023 Ⓒ 김동하.
1949년 신중국 성립 후 상하이, 선전 등 연해의 고속경제 발전에서 소외됐다. 최근 중국정부의 중부굴기 전략(화중지역 발전 전략)과 함께 우한은 내수시장이자 거대 소비도시로 탈바꿈 중이다. 2023년 우한시 소매판매액은 7531.9억 위안으로 직할시인 톈진시는 물론, 내몽고자치고, 길림성, 흑룡강성, 해남성, 감숙성, 청해성, 영하회족자치구, 신강위구르자치구보다 크다. 현재 우한은 ‘중국의 디트로이트’를 꿈꾸며 자동차 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다. 현재 우한시에는 중국 3대 자동차 기업인 둥펑자동차를 비롯해 프랑스 시트로앵, 푸조, 닛산, 혼다 등 8대 자동차 제조업체가 진출했다. 자동차 기업의 2023년도 무한시 생산량은 120.6만 대에 달한다.
김동하 작가의 두피디아 여행기 시리즈
차이나 뮤지엄 투어: 중국 내 주요 도시의 박물관, 기념관을 돌아보는 뮤지엄 투어
차이나 시티 투어: 중국의 31개 성, 직할시, 자치구의 수도인 성회(省會)와 주요 도시를 돌아보는 시티 투어
샤오핑 로드: 중국 개혁·개방 설계사 덩샤오핑의 흔적을 찾아 떠나는 경제지리 여행기
화교 역사·문화답사기: 전 세계에 분포한 5000만명 화교 발생의 역사적 배경과 문화적 특징을 알기 위해 떠나는 답사기
한자로드 : 3300년 전에 만들어져 아직도 살아 있는 한자. 그 생존의 원인과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떠나는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