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새 여행기 작성
새 여행기 작성

돌로미티에서 즐긴 두번째 비아 페라타는 여러모로 특별한 곳이다. 처음 소개한 비아 페라타가 그란 씨르였지만, 사실상 처음 시도한 비아 페라타가 바로 이번에 소개할 장소였기 때문이다. 처음으로 비아 페라타를 하는 만큼 신중하게 골라야했다. 그럼에도 등산학교를 통해 등반 경험이 있는 나와 아내로서는 너무 쉬운 곳을 가기 보다는 멋진 풍경과 적당한 난이도가 있는 길을 원했다. 그렇게 선정한 곳이 바로 '비아 페라타 포르첼라 사쏘룽고'다.
먼저 이름에서 알 수 있다시피 사쏘룽고에 위치한 비아 페라타 코스다. 지난번에 소개한 그란 씨르와 달리 정말 비아 페라타용 루트기도 하며, 구글 지도나 여타 정보에서도 비아 페라타 혹은 페라타로 시작하는 이름으로 검색이 된다.
먼저 비아 페라타 포르첼라 사쏘룽고를 가기 위해서는 파소 셀라(passo sella)로 가야한다. 좌측에는 사쏘룽고, 우측에는 셀라 산군이 있는 길로 이곳에 도착만 해도 멋진 풍경을 마주하게 된다. 사쏘 룽고는 이전 서부 돌로미티를 소개할 때 알페 디 시우시에서 만났던 산의 이름이기도 하다. 그 높은 초원지대에서 바라보았던 크고 뾰족한 산이 바로 사쏘 룽고였는데 알페 디 시우시 건너편에서 바라볼 수 있는 곳이바로 이 파소 셀라였다.
파쏘 셀라의 경우에는 지난번에 소개한 남부 지대의 중심지인 카나제이에서 머물 경우 대중교통을 이용해 쉽게 오갈 수 있다. 대신 피츠 보에를 향하는 사쏘 포르도이와의 방향을 잘 보고 버스를 타서 이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실 이 파소 셀라에서 사쏘 룽고로 가는 길은 독특한 분위기와 풍경으로 많은 이들에게 알려진 곳이다. 인스타그램이나 틱톡 등 숏폼 SNS에서 특별한 케이블카를 탈 수 있다고 소개되고 있다. 비아 페라타를 위해서는 굳이 케이블카를 탈 필요없이 걸어서 올라갈 수도 있는 곳으로 정작 케이블카를 타고 올라가서 마주하는 곳은 고개를 넘어가는 산과 산 사이의 안부에 도착하게 되기 때문에 정작 도착지는 풍경이 유명하지 않은 곳이기도 했다.
케이블카 정류장에서 본 사쏘 룽고 주변 개념도. 다양한 길과 루트가 있는 걸 볼 수 있다.
케이블카는 마치 리프트처럼 지나가는 걸 서둘러 잡고 타야하는 방식으로 상주하는 직원이 도와준다. 지나가는 케이블카를 붙잡고 타야하는 상황. 심지어 두명이 탄다면 서로의 거리를 두고 달려가서 타야했고, 내부는 두 명이 탄다면 가득차는 수준으로 작은 케이블카였다. 만약 불편한 사람과 타게 된다면 굳이 같이 타지 말고 따로 타기를 추천하고 싶을만큼 거리가 가까워지는 내부다.
상당히 오래 된 케이블카인지 진동도 심하고 소음도 비교적 있는 편이었다.
사실 비아 페라타의 시작점은 이 케이블카의 종착지가 아니다. 오히려 케이블카를 타고 내린 뒤 좀 더 내려가서 봐야하는 시점인데 굳이 케이블카를 탄 이유는 역시 이 독특한 경험을 하기 위해서기도 했고, 올라가는데 시간을 크게 소비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걸어서 올라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비아 페라타의 마지막 끝이 사실 이 케이블카의 종착지이기도 하기 때문에 걸어서 올라가 비아 페라타를 경험한 후 내려올 때만 케이블 카를 타도 좋지 않을까 싶었다.
올라가는 동안 바라본 걸어가는 사람들. 우측 위쪽에 보면 작은 사람들이 보이는데 이곳이 바로 비아 페라타의 시작점이다.
케이블카에서 바라본 비아 페라타를 진행 중인 사람들
누군가에게는 케이블카의 종착지이지만 종착지 산장 뒤로 양 옆의 높은 산을 향해 암벽 등반을 하고 있는 사람을 볼 수 있다.
비아 페라타를 하기 위해 내려간다. 케이블카 주변에 비아 페라타로 안내하는 표지판을 따라 내려갈 수 있다.
비아 페라타 포르첼라 사쏘룽고(via ferrata forcelle sassolungo 혹은 ferrata furcela de saslonch)
난이도 : 중간 정도의 어려움
소요 시간 : 2~3시간 정도 걸리는 코스
길이 : 약 5km
고도차 : 약 440m
최대 고도 : 2685m
이 코스의 경우 2022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진 코스로 안전한 편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코스는 다양한 방식의 길을 걸을 수 있으면서도 재밌게 풍경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지난 그란 씨르와 다른 점은 비아 페라타용 장비가 없다면 절대 도전해서는 안되며 진행조차 할 수 없다는 걸 명심해야 한다. 실제로 시작점에 있는 안내판에는 그러한 경고가 쓰여져 있다.
최근에 생긴 루트답게 이러한 안내판이 있다. 실제로는 이러한 안내도가 없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사전에 자세한 정보를 알고 가야할 필요가 있다.
안내도에는 구간별 난이도가 a~e로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페라타365와는 다른 난이도 체계로 설명되어 있다. 이 난이도로는 b~c로 설명되어 있다.
일단 이곳에는 가이드를 동반한 체험 비아 페라타를 오는 경우도 많았으며, 혼자 왔지만 장갑이나 기타 장비가 부족해 다시 내려가는 이들도 많았다. 아내의 경우에는 처음 시작하는 4~5미터의 수직벽에서 굉장한 두려움을 느끼기도 했다. 일단은 첫 비아 페라타인 만큼 장비 사용에 대한 어색함과 신뢰가 부족한 상황이라 어쩔 수 없기도 했다.
시작점으로 가장 오래 걸린 곳이기도 하다
이렇게 장비를 체결하고 이동하고를 반복하며 올라간다.
중간중간 보이는 딱 트인 풍경
이렇게 직각의 수직벽을 오르는 경우도 많다. 그러니 장비는 필수다
지난번 그란 씨르와 달리 중간에 벤치가 있는 쉬어가는 공간에 이렇게 방명록 함이 자리잡고 있었다.
풍경도 좋으니 쉬어가면서 기록을 남겨본다.
그란 씨르와 달리 어려운 난이도의 길을 따라가게 된다. 그렇기에 이 길은 편도로 오르기만 할 수 있는 길로 중간에 탈출하기엔 조금 어려움이 있다.
아내를 기다리며 한번씩 카메라를 꺼내서 사진과 영상을 찍었다. 뒤에 보이는 파쏘 셀라와 케이블카 구간이 보이는데 생각보다 엄청 멀다는 걸 실감하게 된다.
비아 페라타를 하던 중 저 멀리 보이는 산장이자 케이블카 종착지
초심자가 하기엔 조금 어려운 루트가 있는 편이기도 했다. 특히 두려움이나 고소 공포증이 크다면 더 낮은 난이도를 권하고 싶다.
비아 페라타 코스 소개에서는 2~3시간이라고 했지만 우리는 3시간이 조금 더 걸렸다. 그만큼 어색하고 중간중간 쉬는 시간도 있었지만 진짜 비아 페라타를 했다는 걸 실감할 수 있었다. 이 코스를 하게 되며 본격적인 비아 페라타의 재미를 느끼게 되었다. 이 코스의 경우에는 풍경이 압도적이기 보다는 길에서 재미를 찾는 코스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