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새 여행기 작성
새 여행기 작성

지난 해 2024년 5월 중순
독일 베를린 여행을 하면서
데사우를 다녀왔습니다.
다녀오고나서 보고 느낀
건축적 소회를 써 보았습니다.
건축에 관심이 있거나 여행계획하시는 분들
베를린에서 가까우니 꼭 다녀오시기를 권하며
참고하시라고 여행기 올립니다.
-------------------------------------------------------------------------------------------------
바우하우스가 있는 도시 데사우는
독일의 수도 베를린에서 기차로 2시간 정도 걸리는 곳에 있다.
시내의 기차역이나 주변에 기차와 버스가 자주 있어서 베를린에서
하루 정도 시간을 내면 충분히 다녀올 수 있는 곳이다.
바우하우스는 현대건축의 출발점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적인 현대건축의 원형은 모두
바우하우스를 기원으로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현대 건축과
디자인에 미친 영향은 지대하다.
건축뿐 만이 아니고 가구와 인테리어등
지금도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의자와 책상등의 디자인도
바우하우스에서 처음 시도되었던 것이 지금껏 사용되고 있는 것이 많다.
데사우 역 모습
데사우 역 앞의 안내 표지판
바우하우스는 1919년에서
1933년까지 지속했던 독일의 조형학교이다.
바우하우스의 설립자인 발터 그로피우스를 시작으로
한네스 마이어, 모호이너지, 칸딘스키, 미이스반데로에 등의 건축물과 작품들은
20세기 건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바우하우스 양식의 토대가 된 곳이다.
1919년, 작센 대공국 예술공예학교의
교장으로 취임한 독일의 건축가 월터 그로피우스는 원래 조형디자인과
공예학교였던 이 학교를 건축과 공예, 가구등의 디자인을 종합하여 가르치는
바우하우스로 변신시켰다.
본래 바이마르에 있던 학교를
1925년 데사우로 이전하면서 그로피우스는 학생들에게
완벽한 작업 환경을 만들어주는 동시에 모더니즘 건축의 정수를 구현하는
본관 건물을 데사우 시의 지원으로 설계하게 된다.
바우하우스 본관건물
바우하우스 본관건물
현재의 바우하우스 본관건물
예전의 BAUHAUS체 글씨가 있는 건물 원형 모습
바우하우스 부속동
바우하우스 건물은 트레이닝 센터,
작업실, 그리고 거주 공간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고 있다.
모더니즘 원칙에 충실하게 그 다양한 기능에 따라 스타일도 서로
달라야 한다고 그로피우스는 믿었다.
그는 공간을 세 개의 윙,
즉 학교, 작업실, 그리고 이 둘을 잇는 스튜디오와
길 위에 떠 있는 2층짜리 다리로 나누었다.
스튜디오는 최대한 빛을 받기 위해
통유리로 벽을 대신하여 안에서 일어나는 활동을 외부에서
모두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색상의 사용 역시
건물의 다양한 건축 요소에 따라 차별을 두었다.
대부분의 원통형 스틸 가구는 마르셀 브로이어가 디자인한 것이다.
그로피우스는 이 건물이 실험적으로 그리고 성공적으로
설계의 다양한 면모를 결합하였음을 특히 강조하였다.
바우하우스 본관건물과 이어진 기숙사동
바우하우스 기숙사
바우하우스 기숙사 발코니 디테일
바우하우스 기숙사 발코니
바우하우스 기숙사 정면 모습
바우하우스 전시실
바우하우스 화장실
바우하우스 디자인 의자
그로피우스는 “역사는 없다.” 는 말로
대변되는 바우하우스의 선언으로 과거 건축의 관성에서 벗어나는
혁신적인 디자인으로 건축설계를와 디자인을 했다.
그로피우스가 건축한 데사우의
바우하우스 건물은 그동안 유럽과 독일에서 일반적으로
지어졌던 뾰족한 지붕의 전통적인 건물들과 달리 비대칭적인 평면 구성과
평평한 지붕, 흰색으로 칠한 벽, 길 쪽으로 나 있는 수평적인 창문 등이 당시의 건축 문화에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으며 독일의 우파 정치인들과 나치에는 전통적 독일의
건축 양식을 거스르는 반동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같은 시기에 지어진 마이스터의 집은
그로피우스를 비롯한 바우하우스의 교수들이 실제로 함께 살며 일하던 곳으로
바우하우스 건축 양식의 정수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바우하우스 본관 내부 전시실
바우하우스 본관 내부 전시실
바우하우스 본관 내부 창문
바우하우스 본관 내부 복도
바우하우스 본관 내부 복도
바우하우스 본관 내부 강당
바우하우스 본관 내부 전시실
바이마르에서의 바우하우스는
정치적, 경제적 이유로 1925년에 폐쇄될 수밖에 없었는데
바우하우스 교장이던 발터 그로피우스는 자신의 문화적 · 정치적 견해를 지지해 준
데사우로 바우하우스를 이전하였고, 이곳에서 건물을 대규모로 신축하였다.
도시 외곽에 있는 이 건물들은
바우하우스와 마이스터 하우스로 이루어지며 데사우 지방자치체
당국의 의뢰를 받아 1925년~1926년에 건설하였다.
마이스터 하우스는
바우하우스의 책임자들과 뛰어난 몇몇 교수의 주택으로 쓰였다.
그로피우스의 뒤를 이어 1928년에 하네스 마이어가 바우하우스의 교장이 되었고,
2년 후에는 미스 반데어로에가 뒤를 이었다.
바우하우스 마이스터하우스
바우하우스 마이스터하우스
바우하우스 마이스터하우스
바우하우스 마이스터하우스
바우하우스 마이스터하우스
바우하우스 마이스터하우스
바우하우스 마이스터하우스
건축가였던 미스반데어로에가
교장의 자리에 있던 1932년 바우하우스는 나치에 의해 데사우를 떠나
베를린으로 다시 한번 바우하우스의 근거지를 옮기게 되었다.
바우하우스의 급진적이고
국제적인 움직임이 나치의 심기를 불편하게 했던 탓이었다.
결국 1년 만인 1933년 바우하우스는 완전히 폐쇄될 수밖에 없었다.
폐쇄 이후 그로피우스를 비롯한
여러 바우하우스 선구자들은 미국으로 이주해 계속해서
바우하우스의 정신을 이어갔다.
그로피우스는 하버드로 가고
미이스 반 데 로에는 시카고 일리노이 공과대학으로 가서
미국 현대건축의 발전에 지대한 공로를 이루었다.
바우하우스는
건축학교로서 자체의 존속 기간은 길지 않았으나
그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으로 현대 건축과 디자인의 방향을
새롭게 제시했다는 면에서 혁신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데사우 시내의 건축물
데사우 시내의 건축물
데사우 시내의 건축물
데사우 시내의 건축물
데사우 시내 바우하우스 뮤지엄
데사우의 바우하우스 건물은
제2차 세계대전의 폭격으로 일부 파괴되었으나 1976년 재건되었으며
재건 과정에서 좀 더 현대화되었다.
1996년에서 2006년까지는
유적 보호 관련 법률에 따라 재정비,
보수되어 현재까지 보존되고 사용되고 있다.
현대 건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바우하우스와 바우하우스의 발생지인 바이마르,
바우하우스의 창시자인 그로피우스가 건축한 바우하우스 건물 등의
많은 유적이 남아있는 데사우는 1996년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