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메인 주요 글

주요 아티클

라싸

라싸

티베트자치구(西藏自治區)의 행정중심(首府)으로 티베트의 중남부에 위치한다. 동쪽은 린즈시(林芝市), 서쪽은 르카쩌시(日喀則市), 남쪽은 산난시(山南市), 북쪽은 나취시(那曲市)와 접하며, 3개 구(區), 5개 현(縣), 64개 향[鄕](진[鎭]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균 해발 3,658m로 지구상에서 가장 해발고도가 높은 도시 중의 하나이다. 티베트자치구(西藏自治區)의 행정중심지로, 티베트어로 '신의 땅'이라는 뜻을 지닌다. 633년에 송챈감포(松贊乾布)가 토번(吐蕃) 왕조를 세우며 현재 티베트 불교사원으로 유명한 조캉사원(Jokhang, 중국어로는 다자오스(大昭寺))을 건축하였다. 현재 중국의 소수민족 중 하나인 티베트족(중국에서는 장족(藏族)으로 부름)이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며, 중국정부의 이주정책 및 교통 인프라 확충 등에 따라 한족 인구가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다. 현재 중국의 영토지만 오랜 티베트 역사와 문화를 가진 지역으로서 현대에 와서도 티베트인들의 저항운동이나 독립운동이 일어났다. 평균 해발 3,658m로 지구상에서 가장 해발고도가 높은 도시 중의 하나며, 연 일조 시간이 3,000시간 이상으로 '일광성(日光城)'으로 불리기도 한다. 2016년 라싸시를 지나는 칭창철도(青藏鐵路)는 중국 서부대개발(西部大開發) 전략의 상징으로 2006년 7월 1일 개통되었다. 총 길이는 1,956km로, 세계에서 해발고도가 가장 높고 길이도 긴 고원 철로다. 2022년 라싸시의 상주인구는 867,891명으로, 티베트족 인구가 약 60만명이다. 라싸시의 핵심 산업은 관광업으로, 코로나19 시기인 2020년에도 라싸를 방문한 국내외 관광객 수는 2008.03만 명에 달했다. 주요 관광지로는 포탈라궁(布達拉宮), 조캉 사원, 나무추오(納木錯) 호수, 드레풍 사원(哲蚌寺, 중국어 발

빤미

빤미

고기, 죽순, 야채, 커리 페이스트, 향신료 등을 첨가하여 만든 커리로, 타이 북부 지역의 전통적인 커리 요리이다. 고기, 야채, 커리 페이스트, 향신료 등을 넣어 만든 국물이 많은 커리이다. 타이 북부 지역의 전통적인 커리 요리이며, 특히 삼림 지역에서 즐겨 먹는다. 다른 커리 종류에 비해서 국물이 많고 매운맛이 강하며 코코넛 밀크가 첨가되지 않는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타이어로 ‘깽(แกง)’은 태국식 커리를 의미하며 인도식 커리인 까리(กะหร)와 구분된다. ‘바(ป่า)’는 숲 혹은 정글을 의미한다. 전통적으로 이 음식은 멧돼지 고기를 사용하여 만들었으나 오늘날에는 닭고기나 돼지고기, 흰살 생선으로 만들기도 한다. 그밖에 기본적인 재료로는 칠리 고추, 양강근, 마늘, 카피르 라임 리프, 후추, 레몬그라스, 죽순, 타이 가지(thai eggplant: 작고 둥근 모양의 가지로, 타이와 캄보디아 요리에서 즐겨 쓰인다)가 있다. 조리법 먼저 절구에 양파, 양강근, 레몬그라스, 마늘, 카피르 라임 리프, 붉은 고추, 라임즙, 새우를 발효시켜 만든 장인 까삐, 남쁠라, 후추 등을 넣어 곱게 갈아 커리 페이스트를 만들어준다. 닭고기는 살만 발라서 토막낸다. 팬에 오일을 두르고 커리 페이스트를 넣어 복아준다. 여기에 닭고기를 추가하여 볶다가 남쁠라, 설탕, 물을

잘츠부르크 역사지구

잘츠부르크 역사지구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와 같은 예술가들이 활동했던 예술의 도시로 드라마틱한 도시 전경, 역사적 의미가 깊은 도시 구조, 수세기에 걸쳐 많은 교회건물과 유서 깊은 건축물등을 가지고 있는 교회적 도시형태의 중요한 모범사례이다. 1996년 도시 전체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을 본 사람은 영화 속의 무대가 실제로 존재하는지 의심했을 수도 있다. 중세양식의 건축물과 호수와 숲, 그리고 하얀 눈이 덮인 산에 둘러싸여 있는 모습이 환상의 세계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이 아름다운 도시가 바로 오스트리아의 잘츠부르크이다. 빈에서 서쪽으로 300km 정도 떨어진 작은 도시 잘츠부르크는 음악가 모차르트의 고향으로 유명하다. 곳곳에 그의 흔적이 남아 있는데, 특히 모차르트의 생가는 해마다 1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는 명소이다. 그곳에는 모차르트가 사용하던 바이올린과 자필 악보, 가족의 초상화, 편지 등이 전시되어 있다. 매년 여름 그를 기리는 '잘츠부르크 음악제'가 열리면, 도시는 온통 관광객들로 북새통이 되곤 한다. 잘츠부르크는 '소금의 산'이라는 뜻이다. 7세기 후반만 해도 황량했던 도시가 이렇게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라이헨할 소금광산 덕택이다. 광산의 소금으로 부를 쌓은 잘츠부르크는 1077년부터 묀히스베르크산 언덕에 호헨잘츠부르크성을 쌓기 시작하였다. 이후 후기 고딕양식과 바로크양식의 아름다운 건물들이 도시 여기저기에 들어서자, 이 도시는 '알프스의 북로마'라는 별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슬라이드 바로가기
서울 풍납동 토성

서울 풍납동 토성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에 있는 백제시대의 토성터. 1963년 1월 2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한강 연변의 평지에 축조된 순수한 토성으로, 남북으로 길게 타원형을 이룬다. 성벽의 길이는 동벽 1,500m, 남벽 200m, 북벽 300m 정도이며, 서벽은 1925년의 홍수로 유실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새로 제방을 쌓았으므로 서벽이 완전히 남아 있는 것처럼 보인다. 원래 경기도 광주(廣州)에 속했는데 행정구역 개편으로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었으며 서울 풍납동 토성이라고도 한다. 둘레 3,740m에 이르는 규모가 큰 평지 토성이었으나 현재는 2,679m 정도 남아 있다. 성벽의 표면은 잔디와 잡초로 덮여 있는데, 내부는 돌이 거의 없고 고운 모래로 쌓아 올렸으며, 외부의 경사면이 2단으로 축조된 흔적이 남아 있다. 북벽의 높이는 약 8m이고, 기초 부분의 너비는 약 30m이다. 동벽 외부가 깊어진 것은 축성용 채사(採砂)로 인한 것 같고, 동벽에 같은 간격으로 뚫려 있는 네 곳은 성문자리인 듯하다. 1925년 대홍수 때 삼국시대의 청동제 초두(鐎斗)가 2개 발견된 뒤 토기 조각들도 많이 발견되었다. 1966년 토성 내 포함층(包含層)의 일부가 발굴되어 선사시대 말기에서 삼국시대에 걸친 토기와 기와의 분포를 알게 되었다. 1996년 토성의 동북쪽 구역의 조사에서는 지표 4m 정도 아래에서 원삼국시대에서 백제 전기의 집터를 비롯해 가락바퀴[紡錘車], 그물추, 토기 등이 출토되었다. 주민이 생활하던 주거지로 추정되며, 한강유역에 있는 백제

포토커뮤니티

지구촌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