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메인 주요 글

주요 아티클

에이브러햄 링컨

에이브러햄 링컨

미국의 제16대 대통령(재임 1861~1865). 남북 전쟁에서 북군을 지도하여 점진적인 노예 해방을 이루었다. 대통령에 재선되었으나 이듬해 암살당하였다. 게티즈버그에서 한 연설 중 유명한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국민의 정부’라는 불멸의 말을 남겼다. 켄터키주(州) 호젠빌 출생. 가난한 농민의 아들로 태어나 어려서부터 노동을 하였기 때문에 학교교육은 거의 받지 않았지만, 독학하여 1837년 변호사가 되어 스프링필드에서 개업하였으며, 1834~1841년 일리노이 주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847년 연방 하원의원으로 당선되었으나, 미국멕시코전쟁에 반대하였기 때문에 인기가 떨어져 하원의원직은 1기로 끝나고 변호사 생활로 돌아갔다. 1850년대를 통하여 노예문제가 전국적인 문제로 크게 고조되자 정계로 복귀하기로 결심하고, 1856년 노예반대를 표방하여 결성된 미국 공화당에 입당하여, 그해 대통령선거전의 공화당후보 플레먼트를 응원함으로써 자신의 웅변이 알려지게 되었다. 1858년 일리노이주(州) 선출의 상원의원선거에 입후보하여 재선을 노리는 민주당의 S.A.더글러스와 치열한 논전을 전개함으로써 전국적으로 유명해졌다. 더글러스와의 공개논전에서 행한 “갈려서 싸운 집은 설 수가 없다. 나는 이 정부가 반은 노예, 반은 자유의 상태에서 영구히 계속될 수는 없다고 믿는다” 는 유명한 말을 하여 더글러스의 인민주권론을 비판하였다. 선거결과에서는 패하였으나, 7회에 걸친 공개토론으로 그의 명성은 전국적으로 알려지게 되고, 1860년 대통령선거에서는 공화당의 대통령후보로 지명받았다. 그러나 그가 대통령후보로 지명된 것은 노예제에 대한 그의 견해가 과히 급진적인 것은 아니

크랩 케이크

크랩 케이크

게살, 마요네즈, 머스터드, 달걀 등을 혼합하여 튀기거나 구워낸 요리로 미국음식 중 하나이다. 게살, 마요네즈, 머스터드, 달걀 등을 혼합하여 튀기거나 구워낸 것으로 미국에서 에피타이저, 간식 등으로 먹는 음식이다. 크기는 쿠키만큼 작은 것에서부터 햄버거만큼 큰 것까지 다양하다. 게잡이 산업이 번창한 대서양 중부 및 남부 지역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음식이며, 그밖에도 뉴잉글랜드, 걸프 해한, 태평양 북서쪽, 캘리포니아 북부 해안에서도 흔히 접할 수 있다. 주재료인 게살은 어느 게살을 사용하여도 좋으나, 가장 인기 있으며 전통적인 재료는 체사피크 만(Chesapeake Bay)에 서식하는 블루 크랩이다. 뉴잉글랜드 메사추세츠에서는 크랩 케이크에 고구마 튀김과 코울슬로를 곁들여 먹는다. 조리법 큰 볼에 게살, 으깬 크래커, 다진 파, 다진 피망, 마요네즈, 달걀, 우스터소스, 머스터드, 레몬 주스, 소금, 카옌 페퍼를 섞어 반죽으로 만든 뒤 작은 크기로 분할한다. 여기에 밀가루를 뿌린다. 큰 냄비에 기름을 넣어 끓이다 크랩 케이크 반죽을 넣어 노릇노릇하게 튀겨내거나 오븐에 구워준다. 완성된 크랩 케이크 위에는 레몬을 짜낼 수도 있으며 타르타르 소스 등을 곁들일 수도 있다. 곁들임 음식으로는 시저샐러드나, 콘브레드, 구운 감자, 찐 야채, 코울슬로 등이 있다.

아란후에스 문화경관

아란후에스 문화경관

스페인의 중앙 마드리드 자치지구에 위치한 세계유산이다. 18세기에 만들어진 바로크 양식의 정원과 복잡한 수로들이 만들어내는 기하학적인 구조가 인상적이다. 이곳의 길과 정원 건축물은 300여년에 걸쳐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화해 왔고 그 결과 오늘날의 다채로운 모습을 만들어내었다. 2001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선정되었다. 스페인의 한가운데 지방인 마드리드 자치지구(Province and Autonomous Community of Madrid)에 자리하고 있다. 이 지역은 16세기부터 오늘날까지 스페인의 경제적·문화적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는 곳이다.  아란후에스 문화경관(The Aranjuez cultural landscape)은 총면적 약 2047ha에 이르는 거대한 지역이다. 완충 보호 관리 지구까지 합치면 그 영역은 1만8천ha가 넘는다. 구불구불한 수로가 매우 독특한 기하하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다. 바로크 양식(Baroque)의 정원도 매우 인상적이다. 이 정원은 18세기에 프랑스풍으로 지어진 것이다.  이곳 문화경관이 가지는 가장 큰 의의 중 하나는 도시와 시골의 풍경이 어색함 없이 매우 잘 어우러져 있다는 것이다. 오늘날 도시의 많은 건축물들이 주변 자연 경관과 동떨어진 모습으로 지어지는 것과 달리 아란후에스 문화경관 지역 내의 건축물들은 전원과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는 오늘날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심한 부조화를 이루고 있는 자연과 인공 건축물 문제에 대한 해안을 제시하고 있다.   왕실의 지원과 관심 아래

슬라이드 바로가기
김덕령

김덕령

임진왜란 때 의병장. 의병을 정돈하고 선전관이 된 후, 권율의 휘하에서 의병장 곽재우와 협력하여, 여러 차례 왜병을 격파하였다. 생애와 도술을 묘사한 작자 ·연대 미상의 전기 소설《김덕령전》이 있다. 본관 광산. 자 경수(景樹). 시호 충장(忠壯). 광주(光州) 출생.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담양부사 이경린(李景麟)·장성현감 이귀(李貴)의 천거로 종군 명령이 내려졌으며, 전주의 광해분조(光海分朝)로부터 익호장군(翼虎將軍)의 군호를 받았다. 1594년 의병을 정돈하고 선전관이 된 후, 권율(權慄)의 휘하에서 의병장 곽재우(郭再祐)와 협력하여, 여러 차례 왜병을 격파하였다. 1596년 도체찰사 윤근수(尹根壽)의 노속(奴屬)을 장살(杖殺)하여 체포되었으나, 왕명으로 석방되었다. 다시 의병을 모집, 때마침 충청도의 이몽학(李夢鶴) 반란을 토벌하려다가 이미 진압되자 도중에 회군하였는데, 이몽학과 내통하였다는 신경행(辛景行)의 무고로 체포 ·구금되었다. 혹독한 고문으로 인한 장독(杖毒)으로 옥사하였다. 1661년(현종 2) 신원되어 관작이 복구되고, 1668년 병조참의(參議)에 추증되었다. 1678년(숙종 4) 벽진서원(碧津書院)에 제향되었고, 1681년 병조판서에 가증(加贈)되었다. 영조 때 의열사(義烈祠)에 형 덕홍(德弘)·아우 덕보(德普)와 병향(竝享)되었고, 1788년(정조 12) 좌찬성에 가증되었다. 1974년 광주 충장사(忠壯祠)를 복원하여 충훈을 추모하고 있다. 생애와 도술을 묘사한 작자 ·연대 미상의 전기(傳記)소설 《김덕령전》이 있다.

포토커뮤니티

지구촌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