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메인 주요 글

주요 아티클

에도 시대

에도 시대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가 세이이 다이쇼군[征夷大將軍]에 임명되어 막부(幕府)를 개설한 1603년부터 15대 쇼군[將軍] 요시노부[慶喜]가 정권을 조정에 반환한 1867년까지의 봉건시대. 정권의 본거지가 에도[江戶:현 도쿄]였으므로 이렇게 부르며, 또한 정권의 주인공인 도쿠가와의 성을 따서 도쿠가와시대라고도 한다. 이 시대는 가마쿠라[鎌倉]시대에 이룩되기 시작한 봉건사회체제가 마지막 마무리를 거쳐 확립된 시기이며, 무사계급의 최고지위에 있는 쇼군이 막강한 권력을 장악하고 전국을 통일지배하는 집권정치 체제가 확립된 시기이다. 병농분리(兵農分離)가 완성되고 다이묘[大名]를 비롯한 무사계급의 봉토(封土)와 관록제, 농민으로부터 연공(年貢)을 징수하는 사회적 원리 등이 확립되었다. 상인(商人)과 상업에 대한 통제는 대외적으로 유례없는 통상수교거부정책으로 나타나 200년간이나 계속되었다. 이 시대는 또 엄격한 신분제도의 사회였으며, 사농공상(士農工商) 중 인구 5∼6 %의 무사계급이 80% 이상의 농민과 5∼6 %의 공상(工商)을 지배하였다. 무사계급도 쇼군을 최고주권자로 하여 여러 계층으로 구별되고, 동시에 철저한 주종(主從) 관계가 성립되었다. 260∼270가(家)에 이르는 다이묘는 영토가 주어지는 동시에 엄격한 통제하에 들어갔고, 개역(改易)·전봉(轉封) 등의 처분을 자주 받았다. 지배계급이라 해도 하급무사는 정해진 녹봉을 받는 도시의 소비자에 불과하였다. 농민에도 몇 개의 계층이 있었으며 상업의 활동은 전국적인 상품유통망을 조성하는 동시에 농작물 유통과 결부하여 농촌을 화폐경제로

크랩 케이크

크랩 케이크

게살, 마요네즈, 머스터드, 달걀 등을 혼합하여 튀기거나 구워낸 요리로 미국음식 중 하나이다. 게살, 마요네즈, 머스터드, 달걀 등을 혼합하여 튀기거나 구워낸 것으로 미국에서 에피타이저, 간식 등으로 먹는 음식이다. 크기는 쿠키만큼 작은 것에서부터 햄버거만큼 큰 것까지 다양하다. 게잡이 산업이 번창한 대서양 중부 및 남부 지역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음식이며, 그밖에도 뉴잉글랜드, 걸프 해한, 태평양 북서쪽, 캘리포니아 북부 해안에서도 흔히 접할 수 있다. 주재료인 게살은 어느 게살을 사용하여도 좋으나, 가장 인기 있으며 전통적인 재료는 체사피크 만(Chesapeake Bay)에 서식하는 블루 크랩이다. 뉴잉글랜드 메사추세츠에서는 크랩 케이크에 고구마 튀김과 코울슬로를 곁들여 먹는다. 조리법 큰 볼에 게살, 으깬 크래커, 다진 파, 다진 피망, 마요네즈, 달걀, 우스터소스, 머스터드, 레몬 주스, 소금, 카옌 페퍼를 섞어 반죽으로 만든 뒤 작은 크기로 분할한다. 여기에 밀가루를 뿌린다. 큰 냄비에 기름을 넣어 끓이다 크랩 케이크 반죽을 넣어 노릇노릇하게 튀겨내거나 오븐에 구워준다. 완성된 크랩 케이크 위에는 레몬을 짜낼 수도 있으며 타르타르 소스 등을 곁들일 수도 있다. 곁들임 음식으로는 시저샐러드나, 콘브레드, 구운 감자, 찐 야채, 코울슬로 등이 있다.

카세레스 옛 시가지

카세레스 옛 시가지

에스파냐의 카세레스주에 있는 역사유적. 1986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카세레스는 BC 19년부터 로마의 식민지로 발달하였다. 8세기 초에 들어온 이슬람교도들이 그리스도교도들의 국토회복운동에 대항하기 위하여 도시를 요새화하여 지금까지 고딕요새도시의 이미지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성벽으로 둘러싸인 옛시가지에는 요새처럼 지은 귀족들의 저택과 성당·성벽·아치 등의 문화재가 흩어져 있다. 무와히드왕조 때 건설한 성벽에는 곳곳에 5기의 방어용 탑이 있다. 시가지 서쪽에 있는 부하고탑은 잡석을 쌓아 만들었는데, 위쪽에 돌 떨어지는 장치가 달려 있다. 남쪽 측벽을 지키는 레돈다탑은 12세기에 세운 것으로서 바닥이 다각형이고 말굽처럼 생긴 아치가 있다. 동쪽의 로스포소스탑은 성벽 위쪽 통로보다 30m나 높게 지었다. 성당 건축으로는 산마테오성당·산타마리아대성당·산프란시스코하비에르성당 등이 있다. 산마테오성당은 옛시가지의 가장 높은 지점에 있는 고딕양식의 건축물로서 1546∼1780년에 걸쳐 건설되었다. 구조는 단랑식(單廊式)이고 반원 모양의 아치 위에 늑골 볼트가 있으며, 건물 안에는 바로크양식의 제단 장식벽이 설치되어 있다. 산타마리아대성당은 고딕양식과 로마네스크양식이 혼합되어 있는 건축물로서 3줄로 된 신랑(身廊)에 고딕양식의

슬라이드 바로가기
추석

추석

우리나라의 대표적 명절 가운데 하나로 음력 8월 15일. 중추절(仲秋節)·가배(嘉俳)·가위·한가위라고도 부른다. 중추절(仲秋節)이라 하는 것도 가을을 초추·중추·종추 3달로 나누어 음력 8월이 중간에 들었으므로 붙은 이름이다. 역사 김부식이 쓴 《삼국사기(三國史記)》 유리이사금 조에 의하면 왕이 신라를 6부로 나누었는데 왕녀 2인이 각 부의 여자들을 통솔하여 무리를 만들고 7월 16일부터 매일 일찍 모여서 길쌈, 적마(績麻)를 늦도록 하였다. 8월 15일에 이르러서는 그 성과의 많고 적음을 살펴 진 쪽에서 술과 음식을 내놓아 승자를 축하하고 가무를 하며 각종 놀이를 하였는데 이것을 가배(嘉俳)라 하였다. 이 때 부른 노래가 슬프고 아름다워 회소곡(會蘇曲)이라고 하였는데, 이 행사를 가배라 부른 것은 여러 의미가 있다. 가배의 어원은 ‘가운데’라는 뜻을 지닌 것으로 본다. 즉 음력 8월 15일은 대표적인 우리의 만월 명절이므로 이것을 뜻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다음은 진 편에서 이긴 편에게 잔치를 베풀게 되므로 ‘갚는다’는 뜻에서 나왔을 것으로도 유추된다. 고려시대에 나온 노래인 《동동》에도 이 날을 가배라 적었음을 보아 이 명칭은 지속되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가윗날이 신라 이래 국속으로 지속되었음은 중국에서 나온 《수서(隋書)》 동이전 신라 조에 임금이 이 날 음악을 베풀고 신하들로 하여금 활을

포토커뮤니티

지구촌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