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메인 주요 글

주요 아티클

히메지성

히메지성

일본 효고현 히메지에 있는 성으로, 17세기 일본 성곽을 대표하는 목조건축물이다. 1993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히메지성은 17세기 초에 방어 체계를 갖춘 성곽으로 만들어졌으며, 총 83개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성의 흰색 외벽과 날개 모양의 지붕이 마치 백로의 모습과 비슷하여 시라사기성[白鷺城: 백로성]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성곽을 둘러싼 일대는 벚꽃과 단풍의 명소로 유명하며, 벚꽃과 단풍속에 우뚝 선 백로와 같은 성은 아름답지만 이러한 모습 뒤에 철저한 방어 체계와 보호 장치를 갖춘 튼튼한 요새로서의 진면목이 감춰져 있다. 1993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세계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문화유산이다. 히메지성은 1333년경에 처음 지어졌으며, 16세기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천수각을 증축하였다. 그리고 1601년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의 사위 이케다 테루마사[池田輝政]가 개축을 시작하여 1609년에 완성하였다. 현존하고 있는 건물의 대부분은 이때 지어졌다. 지속적으로 증·개축된 이유는 적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해서였다.  나무로 지어진 히메지성은 불에 의한 공격에 취약하기 때문에, 화력(火力)을 이용한 무기가 발달할 때마다 보완할 필요가 있었다. 히메지성을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흰색의 회벽칠도 불에 강한 회반죽을 이용했

슬라이드 바로가기
크랩 케이크

크랩 케이크

게살, 마요네즈, 머스터드, 달걀 등을 혼합하여 튀기거나 구워낸 요리로 미국음식 중 하나이다. 게살, 마요네즈, 머스터드, 달걀 등을 혼합하여 튀기거나 구워낸 것으로 미국에서 에피타이저, 간식 등으로 먹는 음식이다. 크기는 쿠키만큼 작은 것에서부터 햄버거만큼 큰 것까지 다양하다. 게잡이 산업이 번창한 대서양 중부 및 남부 지역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음식이며, 그밖에도 뉴잉글랜드, 걸프 해한, 태평양 북서쪽, 캘리포니아 북부 해안에서도 흔히 접할 수 있다. 주재료인 게살은 어느 게살을 사용하여도 좋으나, 가장 인기 있으며 전통적인 재료는 체사피크 만(Chesapeake Bay)에 서식하는 블루 크랩이다. 뉴잉글랜드 메사추세츠에서는 크랩 케이크에 고구마 튀김과 코울슬로를 곁들여 먹는다. 조리법 큰 볼에 게살, 으깬 크래커, 다진 파, 다진 피망, 마요네즈, 달걀, 우스터소스, 머스터드, 레몬 주스, 소금, 카옌 페퍼를 섞어 반죽으로 만든 뒤 작은 크기로 분할한다. 여기에 밀가루를 뿌린다. 큰 냄비에 기름을 넣어 끓이다 크랩 케이크 반죽을 넣어 노릇노릇하게 튀겨내거나 오븐에 구워준다. 완성된 크랩 케이크 위에는 레몬을 짜낼 수도 있으며 타르타르 소스 등을 곁들일 수도 있다. 곁들임 음식으로는 시저샐러드나, 콘브레드, 구운 감자, 찐 야채, 코울슬로 등이 있다.

김홍도

김홍도

조선시대의 화가. 영.정조의 문예부흥기부터 순조 연간 초기에 활동했다. 어린 시절 강세황의 지도를 받아 그림을 그렸고, 그의 추천으로 도화서 화원이 되어 정조의 신임 속에 당대 최고의 화가로 자리 잡았다. 산수, 인물, 도석, 불화, 화조, 풍속 등 모든 장르에 능하였지만, 특히 산수화와 풍속화에서 뛰어난 작품을 남겼다. 김홍도(金弘道)는 1745년(영조 21)에 태어났다. 출신 가문은 원래 무반에서 중인으로 전락한 집안이라는 것만 확인되고, 어디에서 태어났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다만, 그의 나이 7, 8세 때부터 경기도 안산에 있는 강세황(姜世晃)의 집에 드나들며 그림을 배웠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어린 시절을 안산에서 보낸 것으로 추정된다. 강세황은 당대의 감식가이며 문인화가로 이 두 사람의 관계는 스승과 제자로 시작하여 다음에는 직장의 상하 관계로, 나중에는 예술적 동지로 강세황이 세상을 떠나는 1791년, 김홍도의 나이 47세까지 이어졌다. 김홍도는 강세황의 추천으로 이른 나이에 도화서의 화원이 되었다. 20대 초반에 이미 궁중화원으로 명성을 날렸으며, 1773년에는 29세의 젊은 나이로 영조의 어진과 왕세자(뒤의 정조)의 초상을 그렸다. 그리고 이듬해 감목관의 직책을 받아 사포서에서 근무했다. 1781년(정조 5)에는 정조의 어진 익선관본을 그릴 때 한종유(韓宗裕), 신한평(申漢平) 등과 함께 동참화사로 활약했으며, 이에 대한 포상으로 경상도 안동의 안기찰방을 제수 받았다. 이 무렵부터 명나라 문인화가 이유방(李流芳)의 호를 따서 단원(檀園)이라 스스로 칭했다. 이는 이유방이 지닌 문사로서의 고상하고 맑은 정신과 기묘하고 아취가 있는 그의 그림을 사모한 데 따른 것이라 할 수 있다.

포토커뮤니티

지구촌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