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메인 주요 글

주요 아티클

동방견문록

동방견문록

이탈리아의 마르코 폴로가 1271년부터 1295년까지 동방을 여행한 체험담을 루스티첼로가 기록한 여행기. 13세기 베네치아공화국 출신의 상인이었던 마르코 폴로(Marco Polo)가 27년 동안 세계를 여행하면서 보고 겪었던 사실들을 기록한 책이다. 책의 제목은 《Divisament dou Monde 세계의 기술(記述)》이며 유럽과 미국 등에서는 《마르코 폴로의 여행기》로 출간되었고, 한국과 일본에서는 《동방견문록(東方見聞錄)》으로 출간되었다. 책의 내용은 동방이라고 불렸던 아시아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 등 여러나라를 대상으로 하였다. 마르코 폴로가 직접 여행하지 않았던 곳의 이야기도 수록되어 있는데 이는 당시 마르코 폴로가 여행에서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서술되었다고 추측된다. 마르코 폴로의 여행은 1269년에 시작되었으며 그가 15세가 되던 해, 동방무역에서 돌아온 아버지를 따라 세계여행에 나서게 되었다. 긴 여행을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오자 그의 나이는 42세였다. 베니스로 돌아온 이후 그의 행적에 관해서 전하는 기록은 불분명하며 1298년 베네치아공화국과 제노아공화국 사이에 벌어진 해전(海戰)에 지휘관으로 참전하였다가 포로로 잡혀 감옥에 갇혔으며, 이때부터 자신의 여행을 기록으로 남기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약 3년간 감옥에 갇혀있는 동안 루스티첼로(Rustichello)에게 자신의 경험을 구술하여 필기하도록 한 것이 《Divisament dou Monde 세계의 기술(記述)》이라는 책이다. 하

나폴리 역사지구

나폴리 역사지구

이탈리아 캄파니아(Campania) 지방 나폴리에 있는 역사도시유적. 2,500여 년의 유구한 역사를 지닌 도시로서 다양한 역사 건축물이 보존되어 있어 199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나폴리는 BC 470년 무렵 네아폴리스(새로운 도시)라는 이름으로 건설되었다. BC 4세기에는 로마의 지배를 받게 되었으며 로마시민의 피한지와 항해도시로 번영하였다. 553년에는 동로마제국의 관할하에 들어갔고 763년에는 나폴리공국으로 독립하여 여러 세기에 걸친 번영기를 맞이하였다.  1266년에는 프랑스 앙주가(家)의 수도가 되었고 1282년에는 나폴리왕국이 성립되었다. 15세기 중반에는 르네상스 문화의 번성으로 전성기를 누렸으며, 16세기 초에는 에스파냐의 중앙집권 정책 아래 행정과 사법의 중심지가 되었다. 19세기 초에는 시칠리아왕국의 수도가 되었고 1820년에는 나폴리혁명 정부가 수립되었으며, 1860년에는 이탈리아왕국이 성립하였다. 도시 곳곳에 다양하고 아름다운 건축물이 남아 있다. 고대의 유적으로는 시 근교에 있는 로마시대 카타콤베(지하묘지)의 프레스코화, 4세기에 건설한 산타레스티투타(Santa Restituta)성당, 동로마시대인 5세기의 산조반니 인 폰테 세례당의 모자이크 등이 있다.  중세의 건축물로는 나폴리에서 가장 오래된 델로보(dell'Ovo)성, 앙주가의 샤를 1세가 살던

슬라이드 바로가기
단양 신라 적성비

단양 신라 적성비

신라 진흥왕 때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하방리의 적성(赤城)에 세워진 비석. 1979년 5월 22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1979년 5월 22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93cm, 윗너비 107cm, 아랫너비 53cm이다. 건립연대에 대해서는 545년(진흥왕 6) 이전, 550년, 551년 등 각기 다른 견해가 제시되고 있다. 1978년 1월 단국대학교박물관 조사단이 발견하였다. 단단한 화강암을 물갈이한 뒤 그 위에 직경 2cm 내외의 글자를 음각하였다. 윗부분은 파손되었으나 좌우 양측면은 원형을 보존하고 있다. 비문은 전체 22행에 각 행당 20자씩 새겨져 있지만, 제20행에서 제22행까지는 18~19자씩만 있어서 전체 글자수는 430자 내외로 추정된다. 현재 남아 있는 글자 수는 비면의 288자와 주변의 발굴을 통하여 수습된 21자를 합쳐 309자이다. 오랫동안 땅속에 파묻혀 있었던 탓인지 판독이 불가능한 글자는 거의 없지만, 윗부분이 파손되어 전체 내용을 완전히 파악할 수는 없다. 문장은 순수한 한문식이 아니라 신라식 이두문(吏讀文)과 한문이 섞여 있다. 서체는 중국 남북조시대의 해서체이지만 예서풍이 강하게 남아 있다. 이 비는 이사부(伊史夫)를 비롯한 여러 명의 신라 장군이 왕명을 받고 출정하여, 고구려 지역이었던 적성을 공략하고 난 뒤, 그들을 도와 공을 세운 적성 출신의 야이차(也尒次)와 가족 등 주변인물을 포상하고 적성지역의 백성들을 위로할 목적에서 세웠다. 여기의 이사부는 《삼국사기》에 나오는 이사부(異斯夫)로 알려졌다. 이 비에는 기존

포토커뮤니티

지구촌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