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메인 주요 글

주요 아티클

아잔타 석굴

아잔타 석굴

인도 마하라슈트라 주의 도시 아잔타에 있는 불교 석굴로 1983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인도의 마하라슈트라(Maharashtra)주의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 아잔타 인근에 있는 30개의 불교 석굴이다. 기원전 2세기부터 5세기에 걸쳐 지어진 석굴들로 보존 상태가 뛰어난 것으로 유명하다. 석굴들의 내부에는 인도의 불교 예술 발달상을 보여주는 벽화와 부조들이 남아 있다. 인도의 정부 기관 고고학 조사부서에서 보호하고 있으며 1983년 12월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30개의 석굴은 U자 모양으로 굽이쳐 흐르는 와고라 강(Waghora River)변의 절벽에 나란히 자리하고 있다. 약 100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불교와 힌두교, 자이나교 석굴 단지이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엘로라 석굴(Ellora Caves)이 있다.  기원전 2세기부터 기원후 100년 사이, 사타바하나(Satavahana) 왕조 시대에 만들어 진 다섯 개의 전기 석굴과 바카타카(Vakataka) 왕조 시기인 5세기에 만들어 진 스물 다섯 개의 후기 석굴로 이루어져 있다. 고고학자들은 이곳의 석굴 하나를 제작하는데 약 30년의 시간이 소요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5세기에 들어서면서 인도에서 불교가 쇠퇴하자 불교 승려들은 지형적 요건으로 사회와 단절이 가능한 이곳에 석굴 사원을 만들고 생활하였다. 후에 불교 승려들이 모두 이곳을 떠나자 시간이

룩친핑

룩친핑

고기를 각종 향신료와 함께 혼합하여 작고 둥근 모양으로 빚어낸 뒤 꼬치에 꽂아 그릴에 구워낸 미트볼로, 태국의 인기 있는 간식이다. 고기에 각종 재료를 혼합하여 작게 빚은 뒤 꼬치에 꽂아 구워낸 미트볼 요리이다. 태국의 인기 있는 간식으로 노점상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아이들이 특히 즐겨 먹는다. 타이어로 ‘룩친(ลูกชิ้น)’은 고기나 어육으로 만든 완자를 의미하며, ‘핑(ปิ้ง)’은 굽다는 뜻을 갖는다. 주재료인 고기는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생선 등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지만 주로 돼지고기가 활용된다. 이때 돼지고기로 만든 룩친은 돼지고기를 뜻하는 타이어인 ‘무(หมู)’를 붙여 ‘룩친무(ลูกชิ้นหมู)’라고 부른다. 룩친핑은 일반적으로 대나무 꼬치에 꽂은 채로 제공되며, 매콤하면서 달콤한 맛을 가진 디핑 소스인 남침룩친(น้ำจิ้มลูกชิ้น)을 곁들여 먹는다. 조리법 절구에 통후추와 마늘을 넣어 빻은 뒤, 간 돼지고기, 소금, 소이 소스, 설탕, 타피오카 전분, 베이킹파우더를 첨가하여 반죽을 만든다. 반죽을 푸드 프로세스에 얼음과 같이 넣어서 갈은 다음, 다시 볼에 반죽을 담는다. 큰 냄비에 물을 넣고 불을 켜서 물이 끓지 않을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며 여기에 둥글게 빚은 반죽을 넣어서 반죽 겉부분이 살짝 익을 정도로만 익힌다. 물에 하룻밤 불려

솔로베츠키 제도 문화 역사 유적군

솔로베츠키 제도 문화 역사 유적군

러시아의 북서부 솔로베츠키제도에 위치한 세계유산이다. 5세기부터 인류 거주지로 사용되었으며 15세기 이후에는 수도사들의 종교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16세기에서 19세기에 지어진 많은 수도원 건물과 교회들이 남아있다. 이 건물들은 20세기 초 강제 수용소로 사용되기도 했다. 1992년 유네스코에 의해 그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세계유산으로 선정되었다. 솔로베츠키 제도(Solovetsky Islands)는 러시아 북서부의 섬으로 백해(White Sea)와 접해있다. 이곳은 행정 구역상으로는 아르한겔스크 지구(Arkhangelsk region)에 속한다. 백해에 서쪽에 자리 잡고 있는 솔로베츠키 제도는 6개의 섬으로 이루어졌다. 볼쇼이 솔로베츠키 섬(Bolshoy Solovetsky Island), 안제르 섬(Anzersky Island), 볼샤야 섬(Bolshaya Island), 말라야 무크살마 섬(Malaya Muksalma Island), 볼쇼이 섬(Bolshoy Island), 말리예 자야트 섬(Maly Zayatsky Island)이 그것이다.  여러 개의 섬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제도의 총 면적은 347km²이다. 이 중 약 288km²에 이르는 지역이 솔로베츠키 제도의 문화·역사 유적(Cultural and Historic Ensemble of the Solovetsky Islands)이란 명칭으로 주요 보호 관리 구역에 포함되었다.  솔로베츠키 제도는 기원전 5세기부터 인간이 거주지로 사용되었다. 이곳에서 발견되는 여러 고고학적 흔적은 오늘날 학자들에게 고대인들의 생

슬라이드 바로가기
윤봉길

윤봉길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1932년 4월 29일 일왕의 생일날 행사장에 폭탄을 던져 일본 상하이파견군 대장 등을 즉사시키는 거사를 치르고 현장에서 체포되어 총살되었다. 충청남도 예산에서 아버지 윤황(尹璜)과 어머니 김원상(金元祥) 사이에서 태어났다(1908). 본관은 파평(坡平)이고 호는 매헌(梅軒)이다. 10세 되던 해인 1918년 덕산(德山)보통학교에 입학하였으나, 다음 해에 3·1운동이 일어나자 민족정신의 영향으로 식민지 교육을 거부하고 자퇴하였다. 동생인 윤성의(尹聖儀)와 함께 한학을 공부하였고, 1921년부터는 오치서숙(烏峙書塾)에서 사서삼경 등 한문학을 계속하였다. 한문학 공부를 마치고, 1926년부터는 농민계몽·독서회운동 등 농촌사회운동을 펴나갔다. 농촌사회운동 농민계몽을 위해 《농민독본(農民讀本)》이란 교재를 집필하여 야학회를 조직, 학교에 다니지 못하는 농촌의 불우한 청소년을 가르쳤다. 농촌의 발전을 위해 ‘부흥원(復興院)'이란 단체를 설립하여(1929), 농촌 부흥운동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그해 2월 18일 부흥원 주관으로 학예회를 열고, 촌극인 ‘토끼와 여우’를 공연하였는데, 농촌에서 문화활동이 많지 않던 당시여서 관람객이 매우 많이 모여 성공리에 마쳤다. 이것이 원인이 되어 일본 경찰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그 후에도 농촌활동을 계속하였고, ‘월진회(月進會)'라는 농민단체를 만들어 회장에 추대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농촌자활운동을 펴나갔다. 또한 건강한 신체 위에서 농촌의 발전과 민족독립정신이 길러질 수 있다는 신념으로 ‘수암체육회(修巖體育

포토커뮤니티

지구촌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