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메인 주요 글

주요 아티클

아잔타 석굴

아잔타 석굴

인도 마하라슈트라 주의 도시 아잔타에 있는 불교 석굴로 1983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인도의 마하라슈트라(Maharashtra)주의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 아잔타 인근에 있는 30개의 불교 석굴이다. 기원전 2세기부터 5세기에 걸쳐 지어진 석굴들로 보존 상태가 뛰어난 것으로 유명하다. 석굴들의 내부에는 인도의 불교 예술 발달상을 보여주는 벽화와 부조들이 남아 있다. 인도의 정부 기관 고고학 조사부서에서 보호하고 있으며 1983년 12월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30개의 석굴은 U자 모양으로 굽이쳐 흐르는 와고라 강(Waghora River)변의 절벽에 나란히 자리하고 있다. 약 100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불교와 힌두교, 자이나교 석굴 단지이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엘로라 석굴(Ellora Caves)이 있다.  기원전 2세기부터 기원후 100년 사이, 사타바하나(Satavahana) 왕조 시대에 만들어 진 다섯 개의 전기 석굴과 바카타카(Vakataka) 왕조 시기인 5세기에 만들어 진 스물 다섯 개의 후기 석굴로 이루어져 있다. 고고학자들은 이곳의 석굴 하나를 제작하는데 약 30년의 시간이 소요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5세기에 들어서면서 인도에서 불교가 쇠퇴하자 불교 승려들은 지형적 요건으로 사회와 단절이 가능한 이곳에 석굴 사원을 만들고 생활하였다. 후에 불교 승려들이 모두 이곳을 떠나자 시간이

크로캉부슈

크로캉부슈

누가 위에 프로피테롤을 원뿔 모양으로 쌓아올린 뒤 스펀 슈거(Spun sugar)를 뿌린 슈 페이스트리 케이크로, 프랑스의 장식용 케이크의 일종이다. 누가(Nougat) 위에 프로피테롤(Profiteroles)을 원뿔 모양으로 쌓아올린 뒤 스펀 슈거(Spun sugar)를 뿌려낸 슈 페이스트리 케이크로, 프랑스의 전통적인 웨딩케이크로 잘 알려져 있다. 이때 크로캉부슈는 ‘입안에서 바삭거리다’는 뜻을 가진 프랑스어 ‘croque-en-bouche’에서 유래한 명칭이다. 프랑스의 장식용 케이크의 통칭인 피에스 몽테(Pièce montée)에 해당하며, 피에스 몽테에 특히 능하였던 19세기 프랑스의 유명 셰프인 앙토냉 카렘(Antonin Carême)이 개발한 디저트로도 알려져 있다. 크로캉부슈는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 결혼식, 세례식, 첫 영성체(First Communion)와 같은 행사에서 장식의 목적으로 즐겨 활용되며, 높이 솟은 원뿔 모양이 크리스마스 트리와 닮았다하여 크리스마스에도 활용된다. 재료 주재료인 누가는 비결정체(非結晶體) 캔디의 일종이고, 프로피테롤은 속을 크림 등으로 채운 작은 공모양의 프랑스 슈크림을 의미한다. 이때 스펀 슈거는 설탕을 물에 넣고 끓여 녹인 뒤 실처럼 늘여 굳힌 것으로, 원뿔 모양으로 쌓아 올린 프로피테롤을 고정하여주는 것은 물론 장식의 개념으로도 쓰인다. 크로캉부슈는 그밖에도 설탕을 입힌 아몬드나 초콜릿, 식

푸토라나고원

푸토라나고원

러시아 중부 크라스노야르스크주(州)에 있는 고원지대. 2010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푸토라나 산맥이라고도 한다. 크라스노야르스크주에 있는 중앙시베리아 고원 북서쪽 가장자리의 산악지대에 높이 자리 잡은 현무암 고원이다. 북쪽으로 타이미르 반도(Taymyr Peninsula)가 있고, 북극권 한계선에서 북쪽으로 약 100km 떨어져 있다. 1988년 큰뿔양은 물론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순록떼를 보호하기 위해 푸토란스키 자연보호구역(Putoransky State Nature Reserve)으로 지정하였고 2010년 유네스코(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가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하였다. 면적은 177만 3300ha이다. 중앙시베리아 고원에서 가장 높은 곳이며 최고봉은 카멘산(Mount Kamen:1,701m)이다. 손상되지 않은 냉수호, 하천계는 물론 자연 그대로의 타이가, 툰드라 숲, 툰드라·북극 사막 등 고립된 산악지대의 아북극·북극 생태계가 나타난다. 순록떼의 주요 이동로가 고원을 가로지르는데, 이러한 순록떼의 대규모 이동은 매우 이례적이고 규모가 매우 크며 희귀한 자연현상이다. 고원은 시베리아 용암대지(Siberian Traps)로 이루어지며, 가장 가까운 마을은 광업도시인 노릴스크이다. 대규모 니켈 매장지가 있으며 러시아 지리학적 중심지인 비비호(Lake Vivi)가 있다.

슬라이드 바로가기
정몽주

정몽주

고려 말기 문신 겸 학자. 의창을 세워 빈민을 구제하고 유학을 보급하였으며, 성리학에 밝았다. 《주자가례》를 따라 개성에 5부 학당과 지방에 향교를 세워 교육진흥을 꾀했다. 시문에도 뛰어나 시조〈단심가〉외에 많은 한시가 전해지며 서화에도 뛰어났다. 본관 영일(옛 연일). 자 달가(達可). 호 포은(圃隱). 초명 몽란(夢蘭)·몽룡(夢龍). 시호 문충(文忠). 영천(永川)에서 태어났다. 1357년(공민왕 6) 감시에 합격하고 1360년 문과에 장원, 예문검열(藝文檢閱)·수찬·위위시승(衛尉寺丞)을 지냈으며, 1363년 동북면도지휘사 한방신(韓邦信)의 종사관으로 여진족(女眞族) 토벌에 참가하고 1364년 전보도감판관(典寶都監判官)이 되었다. 이어 전농시승(典農寺丞)·예조정랑 겸 성균박사(禮曹正郞兼成均博士)·성균사예(成均司藝)를 지냈고, 1371년 태상소경보문각응교 겸 성균직강(太常少卿寶文閣應敎兼成均直講) 등을 거쳐 성균사성(成均司成)에 올랐으며, 이듬해 정사(正使) 홍사범(洪師範)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明)나라에 다녀왔다. 1376년(우왕 2) 성균대사성(成均大司成)으로 이인임(李仁任) 등이 주장하는 배명친원(排明親元)의 외교방침을 반대하다 언양(彦陽)에 유배, 이듬해 풀려나와 사신으로 일본 규슈[九州]의 장관에게 왜구의 단속을 청하여 응낙을 얻고 잡혀간 고려인 수백 명을 귀국시켰다. 1379년 전공판서(典工判書)·진현관제학(進賢館提學)·예의판서(禮儀判書)·예문관제학·전법판서·판도판서를 역임, 이듬해 조전원수(助戰元帥)가 되어 이성계(李成桂) 휘하에서 왜구토벌에 참가하였다. 1383년 동북면조전원수로서 함경도에 침입한 왜구를 토벌, 다

포토커뮤니티

지구촌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