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베트불교 티베트를 중심으로 하여 발전한 불교. 라마교라고도 한다. 손챈감포[松贊岡保] 왕(?~649) 때 중국 문성공주와 브리쿠티 데비 두 왕비가 중국계와 인도계의 불교를 도입하였다. 이들 불교는 주술을 중시하는 티베트의 고유신앙인 본교(bon敎)를 배척하지 않고 혼합된 형태를 지니고 토착화해 갔다. 그후 8세기 중엽, 인도의 샨티 락시타[寂護]와 파드마 삼바바[蓮華座]가 밀교(密敎)를 전한 뒤부터 티베트 불교의 근본은 밀교가 되었다. 랑다르마왕이 한때 파불(破佛)했었으나 1038년경 인도에서 초빙된 아티샤가 티베트 밀교를 크게 개혁하였다. 13세기에는 원(元)나라에 전파되어 국교가 되기도 하였다. 15세기에 총카파[宗喀巴]가 반야중관(般若中觀)사상을 기초로 하여 이를 밀교와 융화시킴으로써 티베트불교의 기초를 확립했다. 그의 종파를 황모파(黃帽派:게룩파)라 하며, 그 전의 종파를 홍모파(紅帽派:닝마파)라고 한다. 총카파의 제자 중 겐둔그룹(1391∼1475)이 초대 달라이라마[達賴喇嘛], 즉 법왕(法王)이 되어 현재 14대에 이르고 있다. 달라이는 몽골어로 바다를 뜻하며, 라마는 덕이 높은 스승을 가리킨다. 티베트인은 자신의 국가를 관음(觀音)의 정토(淨土)라 생각하며, 그 통치자인 달라이라마를 관음(觀音)의 화신으로 생각한다. 티베트불교는 티베트뿐만 아니라, 북인도·몽골 및 중국의 일부 지방에 있다.
꿍채남쁠라 생새우에 타이의 피시소스인 남쁠라(น้ำปลา)와 갖은 향신료를 첨가하여 만든 소스를 곁들여낸 매콤한 맛의 새우 샐러드로, 타이의 인기 있는 애피타이저이다. 매콤한 맛의 소스를 곁들여낸 생새우 샐러드이다. 타이의 요리로, 인기 있는 애피타이저이다. 타이어로 ‘꿍(กุ้ง)’은 새우를, ‘채(แช)’는 담그다 라는 뜻이며 남쁠라는 타이의 피시소스를 말한다. 꿍채남쁠라는 본래 생새우에 마늘, 고추, 남쁠라 등을 첨가하여 만든 매콤한 소스를 따로 내어서 먹는 음식이나 오늘날에는 소스를 새우에 버무려서 내기도 하고 소스에 레몬그라스가 첨가되기도 한다. 타이에서는 꿍채남쁠라에 알코올이 함유된 음료를 곁들여 먹는 경우가 많다. 조리법 생새우는 신선한 것을 준비하여 껍질과 내장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는다. 볼에 다진 칠리 고추와 다진 코리앤더 뿌리, 다진 마늘을 넣고 잘 섞어준다. 여기에 남쁠라, 설탕, 라임 주스를 첨가하여 소스를 만든다. 접시에 생새우를 담고 새우 사이사이에 슬라이스 한 마늘을 올려준다. 요리를 내기 직전에 소스를 새우에 부어주고, 민트를 솔솔 뿌려준다. 완성된 꿍채남쁠라는 새우에 마늘과 소스를 곁들여 먹는다. 영양정보 요리의 주재료인 새우에는 타우린이 다량 함유되어 체내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므로 동맥경화와 같은 성인병을 예방하는 것은 물론 노화를 방지해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새우는 지방이 낮으면서도 단백질이 함유량이 높아 체중조절 시 도움을 주는 음식이
볼가르 역사고고유적군 러시아연방에 속한 타타르스탄의 볼가강 연안에 있는 7~15세기의 유적을 가리킨다. 중세에 번성하였던 볼가 볼가르 문명을 증거하는 유적으로서 2014년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볼가르(Bolgar)는 러시아연방의 자치공화국인 타타르스탄의 스파스키 지구(Spassky District)에 속한 도시이다. 중세에 번성하였던 볼가 볼가르(Volga Bulgar) 문명을 증거하는 유적으로서 1991년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포함되었으며,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의 실사 평가를 거쳐 2014년 6월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제38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러시아의 26번째 세계유산(문화)으로 등재되었다. 등재된 문화유산의 면적은 424㏊, 주변의 완충지역(Buffer zone) 면적은 1만 2101㏊이다. 유적지는 볼가강(Volga River)과 카마강(Kama River)의 합류점에서 남쪽으로 약 30㎞, 타타르스탄의 수도 카잔(Kazan)에서 남쪽으로 약 200㎞ 거리에 있다. 볼가강 좌안(左岸)에 접하는 볼가르 지역에 사람이 처음 정착한 시기는 500년경으로 추정되며, 고대 대불가리아(Old Great Bulgaria)가 하자르(Khazar)에 의하여 붕괴되고 나서 660년경에 쿠브라트(Kubrat)의 아들 코트라그(Kotrag)가 투르크계(系)의 불가르족(Bulghārs)을 이끌고 볼가강과 카마강의 합류점에 볼가 불가르를 세웠다. 볼가 불가르를 세운 불가르족은 현지의 핀계와 슬라브계 원주민을 지배하면서 번성하였고, 922년에는 이슬람교를 국교로 받아들임으로써 이후 오랫동안 볼가르 지역은 타
경주 석굴암 석굴 통일신라시대에 경주 토함산(吐含山)에 세워진 한국의 대표적인 석굴사찰.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국가유산청에 등록된 정식명칭은 석굴암석굴이며, 《삼국유사》에 나오는 원래 이름은 석불사이다. 임진왜란 이후 불국사에 예속되었고, 1910년경부터 일본인들이 석불사 대신 현재의 석굴암(石窟庵)으로 부르기 시작했다. 일연(一然)의 《삼국유사(三國遺事)》를 보면, 석굴암은 8세기 중엽인 통일신라 751년(경덕왕 10)에 대상(大相) 김대성(金大城)이 불국사(佛國寺)를 중창(重刱)할 때, 왕명에 따라 착공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그는 현세(現世)의 부모를 위하여 불국사를 세우는 한편, 전세(前世)의 부모를 위해서는 석굴암을 세웠다는 것이다. 이는 불교의 인과응보(因果應報) 설화를 기반으로 한 요소가 엿보이는 전설적인 유래이지만, 대상 김문량(金文亮)의 집에 환생(還生)하였다는 김대성은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나타나듯이 경덕왕대에 중시(中侍)로 있었던 김문량이 실존인물임에 비추어, 그의 아들인 김대정(金大正)이 신라의 기명(記名) 방식에 의해 대성과 동일인물인 것으로 추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김대성은 왕명을 받들어 토함산의 정상을 사이에 두고 동서로 전개하여 불국사와 석굴암이라는 김씨 왕족(金氏王族)을 위한 2대 사찰의 건립에 마지막 생애를 다 바쳤다
참여백과 돗통시 돗통시는 과거 제주도에서 사용되던 화장실과 돼지우리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던 구조물이다. 돗통시(돗통시, Jeju Pigsty-Latrine) 돗통시... 두봉 프랑스 출신의 가톨릭 주교로, 약자들과 소외된 이들을 위해 헌신하며 한국 사회에 큰 기여를 하였다. 생애 두봉 레나도 주교는 1929년 프랑스 ... 파비콘 즐겨찾기 아이콘(favorites + icon)의 줄임말로 인터넷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표시되는 웹사이트를 대표하는 아이콘이다. 단축 아이콘(shortcut ico...
최신항목 보기 모로니 자연환경 모로니는 그랑드코모르섬 서쪽 해안에 위치해 있으며, 대부분 해변이 없는 바위로 이루어진 화산 해안선을 가지고 있다. 화산 분화구에서 북서... 트리폴리의 도시구조 지중해와 사하라사막 사이의 오아시스에 위치한 트리폴리는 구시가지와 신시가지로 나뉜다. 시내의 중심부에는 튀르키예계제족 아랍인 디자인의 ... 공룡의 멸종 공룡의 멸종은 약 6천6백만 년 전 백악기 말에 일어난 지구의 대격변으로, 다양한 공룡 종이 지구에서 사라진 사건이다. 이 멸종은 소행성 충돌, 화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