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메인 주요 글

주요 아티클

석가

석가

불교를 창시한 인도의 성자(聖者)로 성은 고타마(Gautama:瞿曇) 이름은 싯다르타(Siddhārtha:悉達多)이다. 부처님, 부처, 석가모니, 석가세존, 석존, 세존, 석가, 능인적묵, 여래, 불타, 붓다, 불(佛)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 석가모니(釋迦牟尼)·석가문(釋迦文) 등으로도 음사하며, 능인적묵(能仁寂默)으로 번역된다. 보통 석존(釋尊)·부처님이라고도 존칭한다. 석가는 샤카(샤키야,Sākya)라는 민족의 명칭을 한자로 발음한 것이고 모니(muni)는 성인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석가모니라 함은 본래는 '석가족(族) 또는 샤키아 족 출신의 성자'라는 뜻이다. 본래의 성은 고타마(Gautama:瞿曇), 이름은 싯다르타(Siddhārtha:悉達多)인데, 후에 깨달음을 얻어 붓다(Buddha:佛陀)라 불리게 되었다. 또한 사찰이나 신도 사이에서는 진리의 체현자(體現者)라는 의미의 여래(如來:Tathāgata), 존칭으로서의 세존(世尊:Bhagavat)·석존(釋尊) 등으로도 불린다. 출생 현재의 네팔 남부와 인도의 국경부근인 히말라야산(山) 기슭의 카필라성(Kapilavastu:迦毘羅城)을 중심으로 샤키야족[釋迦族]의 작은 나라가 있었다. 석가모니는 그 나라의 왕 슈도다나(Śuddhodāna:淨飯王)와 마야부인(Māyā:摩耶) 사이에서 태어났다. 샤키야족은 그 왕호가 정반왕, 그리고 정반왕의 동생이 백반(白飯)·감로반(甘露飯) 등으로 불리고 있는 점에서 미작(米作) 농경생활과 깊은 관계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석가모니는 크샤트리아 계급 출신이라고 하지만, 샤키야 족 내부에 카스트의 구별이 있었던 것 같지는 않다. 또한

커리 퍼프

커리 퍼프

살아있는 민물새우에 타이의 피시소스인 남쁠라, 향신료 등을 첨가하여 만든 소스와 갖은 채소를 버무려낸 매콤한 샐러드로, 타이 북동부 및 북부 지역에서 인기 있는 음식이다. 살아있는 민물새우에 소스와 야채를 버무려낸 매콤한 맛의 샐러드이다. 타이 북동부 지역과 북부 지역에서 인기 있는 지역의 요리로, 메콩강 유역에서 유래하였다. 레스토랑보다 길거리 노점상이나 지역의 마켓에서 만나볼 수 있다. 이때 타이어로 ‘꿍(กุ้ง)’은 새우를 의미하며, ‘뗀(เต้น)’은 ‘춤을 추다, 껑충 뛰다’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이는 실재로 요리에 살아 움직이는 민물새우를 활용하기 때문에 먹는 내내 새우가 팔딱팔딱 뛰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꿍뗀은 먹기 직전에 민물 새우와 소스, 야채를 한데 버무려야 재료의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다.  조리법 찬물에 아직 살아있는 민물새우를 넣어 씻는다. 볼에 타이의 피시 소스인 남쁠라(น้ำปลา), 고춧가루, 다진 마늘, 라임 주스, 다진 레몬그라스를 섞어 소스를 만든다. 홍양파, 파, 실란트로, 코리앤더, 민트를 썰어 샐러드를 준비한다. 샐러드 야채에 소스를 넣어 버무린다. 큰 냄비에 살아있는 민물새우를 넣는다. 이때 민물새우가 냄비 밖으로 튀어 나오지 않도로 뚜껑을 재빨리 덮는다. 뚜껑을 열어 소스로 버무린 샐러드를 붓고 뚜껑을 닫는다. 뚜껑을 덮을 채로 냄비를 흔들어서 민물새우에 소스가 버무려지도록한다. 완성된 꿍뗀은 접시에 담고 바질을 뿌려 먹

부르고스 대성당

부르고스 대성당

스페인의 부르고스주에 있는 성당으로, 프랑스의 고딕 양식이 스페인에 융합된 훌륭한 사례를 보여주는 건축물이다. 1984년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스페인(에스파냐)의 카스티야이레온(Castilla y Leon) 자치지방에 속한 부르고스주에 있는 고딕식 성당이다. 이 성당은 성모 마리아에게 봉헌하기 위하여 건축된 것으로, 1221년 카스티야왕국의 페르난도 3세(Ferdinand III) 통치 기간에 마우리시오(Mauricio) 주교가 주도하여 공사를 시작하였다. 1293년 가장 중요한 첫 단계 공사가 완성되었고, 이후 오랫동안 공사가 중단되었다가 15세기 중반에 재개된 뒤로 100년 이상 지속되어 1567년에 완공되었다. 뛰어난 건축 구조와 성화(聖畵), 성가대석, 제단 장식벽, 스테인드글라스 등의 예술 작품과 독특한 소장품 등 고딕 예술의 역사가 집약된 건축물로서 이후의 건축 및 조형 예술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1984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지정된 면적은 1.03㏊이며, 주변의 완충지역(Buffer zone) 면적은 78㏊이다. 지정된 면적에 포함되는 대성당은 본당 건물과 회랑 및 부속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바닥 평면도는 라틴 십자가 모양에 삼랑식 신랑(三廊式身廊)과 단랑식 수랑(單廊式袖廊), 주보랑(周步廊) 그리고 방사상 제실(放射狀祭室)이 있는 내진(內陣)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신랑과 수랑이 교차하는 네 구석에는 거대한 원주(圓柱)가 서 있어 팔각형의 대탑(大塔)을 지탱하고 있다. 서쪽

슬라이드 바로가기
입하

입하

24절기 중, 7번째 절기이다. 음력 4월에 해당하며, 양력 5월 5~6일 경으로 태양의 황경이 45˚에 있을 때이다. 이날부터를 여름으로 보았다. 농작물이 자라기 시작하여 몹시 바빠지는 때이다. 양력 5월 5·6일경으로, 태양의 황경(黃經)이 45°에 있을 때이다. 음력으로는 4월에 해당하며, 곡우(穀雨)와 소만(小滿) 사이에 든다. 여름에 들어섰다고 하여 입하라 한다. 예로부터 입하 15일 동안을 5일씩 3후(候)로 세분해 청개구리가 울고, 지렁이가 땅에서 나오며, 왕과(王瓜:쥐참외)가 나온다고 하였다.음력에서는 보통 4∼6월 석 달을 여름이라고 부르지만, 엄격히 구분하면 입하 이후 입추(立秋) 전날까지를 여름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입하 무렵이 되면 농작물이 자라기 시작하면서 몹시 바빠지는데, 해충도 왕성한 활동을 시작하기 때문에 병충해 방제는 물론, 각종 잡초를 제거하는 데도 힘을 쏟아야 한다.특히 이 시기부터 들판의 풀잎이나 나뭇잎이 신록으로 물들기 시작하면서 찻잎을 채취하는 손길도 분주해진다. 보통 곡우 때 채취해 만든 차를 우전차(雨前茶)라 하여 최상품으로 여기지만 입하 무렵에 만든 차도 이에 못지 않다. 입하까지 채취한 찻잎으로 만든 차를 삼춘차(三春茶)·삼첨(三尖), 입하 후에 만든 차를 사춘(四春)·난청(爛靑)·장대(長大)라 하여 통칭 입하차로 부른다.또 세시풍속의 하나로 이 즈음에 쌀가루와 쑥을 한데 버무려 시루에 쪄 먹는 떡, 이른바 쑥버무리를 절식(節食)으로 먹기도 하고, 집안에 따라서는 색다른 음식을 마련해 농사꾼들의 입맛을 돋우기도 하였다.[24절기] [표]24절기 (항목 편집 시, 수정·삭제

포토커뮤니티

지구촌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