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메인 주요 글

주요 아티클

윈강 석굴

윈강 석굴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 서쪽 15km, 우저우강[武州江] 북안에 있는 사암(砂岩)의 낭떠러지에 조영(造營)된 중국에서 가장 큰 석굴사원. 전체길이는 동서로 약 1km에 이르며 석굴의 총수는 42개이다. 동쪽 언덕에 제1∼4동(洞), 중앙 언덕에 제5∼13동, 서쪽 언덕에 제14∼42동이 있다. 북위(北魏)의 역사서 《위서(魏書)》의 〈석로지(釋老志)〉에 따르면, 사문통(沙門統:종교장관) 담요(曇曜)가 당시 문성제(文成帝)에게 석굴 조영을 주청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이른바 '담요 오굴(五窟)'이라고 불리는 제16동에서 제20동까지가 이때에 만들어진 석굴로, 460년대 초에 조영된 것이다. 윈강석굴에서 볼 수 있는 불상의 양식은, 제20동의 노좌대불(露座大佛:높이 14m), 제19동의 대불(높이 약 17m)을 중심으로 하는 조상(彫像)에 초기 양식이 표현되어 있는데, 치졸하지만 소박한 면과 선으로 구성된 서방 양식이 풍부한 작풍이다. 담요 이후는 전통과 외래 양식이 혼합되면서 다양해졌다. 이 석굴의 융성기는 486년 전후였는데, 이 무렵의 불상은 중국 고대의 복제(服制)를 모방하였다. 신체보다도 복제 표현에 유의하여 조각하였고, 얼굴은 길며 매우 신비롭다. 북위불(北魏佛) 또는 육조불(六朝佛)이라 하여 후에 하나의 조상 기준이 된 것도 이 무렵의 불상이다. 이 석굴은 북위의 문화사적 유산일 뿐만 아니라 중국을 중심으로 한 서북 인도·중앙 아시아와의 문화적 교류 및 한국과 일본의 고대문화를 만들어낸 아시아 문화 생성의 자취를 입증해 주는 중요

까이허바이터이

까이허바이터이

마리네이드한 닭고기를 판단(pandan) 잎에 싸서 튀겨낸 음식으로, 타이의 요리이다. 닭고기를 판단(pandan) 잎에 싸서 튀겨낸 아시아 전역에서 인기 있는 타이음식이다. 타이어로 ‘까이(ไก)’는 닭을, ‘허(ห่อ)’는 싸다, 포장하다는 뜻을 가지며,‘ 바이터이(ใบเตย)’는 다운 판단을 의미한다. 다운 판단은 열대식물인 판단의 잎을 뜻하며 초록색에 칼날같이 길쭉한 모양을 갖고 있다. 또한 바닐라와 건초를 연상시키는 향을 가지고 있어 카레나 찜 요리, 바비큐 등에 많이 쓰인다. 까이허바이터이는 사이드 디시는 물론 메인 디시나 간식으로도 손색이 없는 부드러운 식감을 가진 닭튀김으로 촉촉하면서 육즙이 가득하고 다운 판단의 향이 가득 배어있다. 조리법 닭 가슴살을 준비하여 깍둑썰기한다. 절구에 마늘과 실란트로의 줄기를 넣고 으깨어 준다. 큰 볼에 절구로 으깨놓은 재료들과 닭고기, 후추, 참기름, 굴소스, 라이트 소이소스(light soy sauce)를 넣어 잘 섞어준다. 이 상태로 닭고기를 약 2시간가량 재워 놓는다. 판단 잎은 깨끗하게 씻은 뒤 잎 하나당 닭고기 한 조각을 넣어 잘 말아준다. 팬에 기름을 넉넉히 두르고, 판단 잎에 싼 닭고기를 넣어 황금빛을 띠는 갈색이 될 따까지 노릇노릇하게 튀겨준다. 팬에 라이트 소이소스,

브란겔랴섬의 자연보호지역

브란겔랴섬의 자연보호지역

러시아 극동지방인 추코트 자치구에 있는 세계자연유산이다. 빙하기의 영향을 받지 않은 다양한 동식물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태평양 바다코끼리, 북극곰, 북극 여우들의 주요 서식지이며 멸종위기에 처한 백여종의 새들이 발견되는 곳이다. 고유 식물종 또한 417종에 이른다. 2004년 유네스코에 의해 그 가치를 인정받아 세계유산으로 선정되었다. 시베리아의 추코트 자치구(Chukot Autonomous Area)에 위치해 있다. 북극해(Arctic Ocean)와 베링해(Bering Sea)에 면해 있는 이 지방은 러시아에서 가장 북동쪽에 위치한 곳으로 러시아인, 축치인(Chukchi), 우크라이나인(Ukrainians), 에스키모인(Eskimo) 등을 비롯한 다양한 민족들이 거주하고 있다. 브란겔랴섬(Wrangel Island)과 헤럴드 섬(Herald Island)을 포함한 주요 집중 관리 보호지구의 면적은 총 916,300ha이다. 하지만 인근의 완충 보호지역까지 합치면3,745,300ha에 이르는 거대한 자연보호지구이다. 이 자연 보호 지역은 제4기 빙하기(Quaternary Ice Ages) 당시 빙하작용을 거의 받지 않았다. 그 결과 브란겔랴섬의 자연보호지구에는 다양하고 희귀한 동식물군이 오늘 날까지 많이 남아 있다. 특히 브란겔랴섬 해변에는 전 세계 어디보다도 많은 수의 태평양 바다코끼리(Pacific Walrus)들이 서식하고 있다. 북극곰(Polar Bear)과 북극여우(Polar Fox)의 개체수도 상당하다. 또한 이 지역은 저 멀리 멕시코에서부터 올라온 회색 고래(Grey Whale)와 멸종위기에 처한 백여 종의 새들의 소중한 서식지이다. 브란겔랴섬의 자연보호지구에만 서식하고 있는 고유 식물 종은 400개

슬라이드 바로가기
익산 미륵사지 석탑

익산 미륵사지 석탑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의 미륵사지에 있는 백제 말기의 화강석 석탑.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백제시대 미륵사에 세워진 3기의 탑 가운데 서쪽에 있는 석탑이다. 국내에 현존하는 최고(最古)·최대(最大)의 석탑으로서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2015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백제역사유적지구의 일부이기도 하다. 역사 미륵사는 무왕(재위 600-641)대에 창건된 백제 최대의 사찰로 알려져 있으며, 1탑 1금당(金堂)이던 백제의 일반적 가람 배치와는 달리 3탑 3금당으로 독특하게 배치하여 중금당(中金堂)의 목탑을 중심으로 동금당(東金堂)과 서금당(西金堂) 앞에 각각 석탑을 세웠다. 조선시대에 미륵사가 폐사(廢寺)된 뒤 3기의 탑 가운데 목탑과 동금당의 석탑은 소실되었는데, 현재의 동쪽 석탑은 미륵사지 석탑의 발굴 결과를 바탕으로 1993년에 복원한 것이다. 서금당의 석탑은 국내에 현존하는 석탑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고, 창건 시기가 명확하게 밝혀진 석탑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에 건립되었다. 원래 9층이었으나 미륵사가 폐사된 뒤 원형이 크게 훼손되어 6층까지만 남게 되었고, 일제 강점기인 1915년에 일본인들이 무너진 부분을 콘크리트로 덧씌운 채로 전해졌다. 1998년 구조 안전진단을 시행하여 이듬해에 해체 및 보수를 결정한 뒤 2001년 10월부터 본격적인 해체보수정비 작업을 시작하였다. 규모 및 구조 남아 있던 6층의 서남쪽 부분은 

포토커뮤니티

지구촌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