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Doopedia Pick!똑똑한 콘텐츠
원자폭탄을 제조한 미국의 이론물리학자,
인물 지역
원자폭탄을 제조한 미국의 이론물리학자, 로버트 오펜하이머
미국의 이론물리학자. 이론물리학 분야에서 광범위한 연구를 하였으며, 주요 업적으로 무거운 별에 관한 이론, 우주선 속에서 관측된 새 입자가 양전자·중간자라는 사실의 지적, 우주선 샤워의 메커니즘, 핵반응에서 중간자의 다중발생, 중양성자 핵반응 등이 있다.
뉴욕 출생. 아버지는 독일에서 이주한 부유한 유대계 무역상인데, 이것이 원인이 되어 후에 독일에서의 나치즘의 발흥과 안티세미티즘(antisemitism:반유대주의)의 파동 속에서 급속하게 정치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1925년 하버드대학교를 졸업, 케임브리지대학교·괴팅겐대학교에 유학한 후에 여러 대학에서 연구생활을 거쳐 캘리포니아대학교와 캘리포니아공과대학 교수가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로스앨러모스의 연구소장으로서 원자폭탄제조계획을 지도했고, 전후에는 1946∼1952년 원자력위원회의 일반자문위원회 의장, 1947∼1966년 프린스턴고등연구소장으로 있었다. 1954년 그 동안의 수소폭탄제조계획에 대한 반대가 직접적인 계기가 되어 원자력 관련 기밀사항에 대한 접근을 금지당하여 화제를 불러 일으켰다. 이론물리학 연구범위는 대단히 광범위하여, 초기에는 분자에 대한 양자역학(量子力學)과 산란(散亂)의 문제를 연구한 것을 비롯하여 양자전기역학(量子電氣力學)·우주선(宇宙線)·원자핵론에 이르고 있다. 주요 업적은 무거운 별에 관한 이론, 우주선 속에서 관측된 새 입자가 양전자·중간자라는 사실의 지적, 우주선 샤워의 메커니즘, 핵반응에서 중간자의 다중발생, 중양성자 핵반응 등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많은 사람과 공동으로 미국의 이론물리학계에 지도적 역할을 수행했다. 1963년 엔리코페
지금, 이런 지식 어때요? 최신 지식 콘텐츠
뇌파를 이용해 컴퓨터를 제어하는
IT
뇌파를 이용해 컴퓨터를 제어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두뇌의 신경 세포에서 발생하는 신호인 뇌파를 이용해서 외부 기기를 동작시키거나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술.
중추신경계의 핵심인 뇌를 이용하여 컴퓨터 등의 주변기기를 제어하고 동작시킬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술로, 생체를 이용한 컴퓨터와의 소통 방식 중 하나이다. 사람이 어떠한 동작을 시도하거나 시도하려고 생각하게 되면 두뇌의 신경 세포에서 일정한 전기 신호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뇌파(brain wave)'라고 하며, 뇌파를 인식하여 주변기기 등에 활용하고자 하는 기술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이다. 처음에는 동물의 뇌를 이용한 연구가 시도되었으나, 그 기술이 점차 발달하고 뇌를 이용한 연구의 가치가 증가함에 따라 오늘날에는 사람의 뇌를 연구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뇌파를 읽는 것뿐만 아니라 외부의 신호를 이용해서 신경세포를 자극시킬 수도 있으며, 두뇌의 상상만으로 원하는 명령이나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주요 기술 뇌를 중심으로 신경세포의 신호를 확보하고, 확보한 신호를 분석하며, 분석한 결과를 이용해서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기술로 구성되어 있다. 인공지능의 대표적 분야인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기계학습)을 비롯하여 컴퓨터공학, 뇌공학, 의학 등의 기술들이 융합되어 있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구현을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복합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한편, 신경세포의 신호를 확보하기 위한 주
길 위에서 만난 세상지구촌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