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Doopedia Pick!똑똑한 콘텐츠
세밀한 묘사와 다채로운 색감의 화풍,
문화예술 지역
세밀한 묘사와 다채로운 색감의 화풍, 도사파
일본 헤이안 시대의 장식적 기법인 야마토에(やまと絵) 화풍을 전개한 대표적 화파로, 세밀한 묘사와 다채로운 색감을 특징으로 한다. 무로마치 시대에 가노파, 운코쿠파와 함께 3대 화파를 이루었고, 19세기 에도 시대 말기까지 일본 화단에 영향을 주었다.
일본 헤이안 시대 정립된 화려한 색채와 장식적 기법의 야마토에(やまと絵) 화풍을 계승한 일본 대표적 화파의 하나로, '토사파'라고도 부른다. 15세기 초부터 활약하였으며, 가노파(狩野派)와 함께 지배층의 미술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19세기 말 에도 시대 말기까지 일본 화단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무로마치 시대에는 가노파, 운코쿠파(雲谷派)와 함께 3대 화파를 이루었으며, 무로마치 시대 말까지 '도사 가(家)'가 교토의 궁정화가 직책인 에도코로아즈카리(繪所預)를 세습하며 하나의 주요 화파로 자리 잡았다. 초기에는 교토의 궁중과 귀족 취향의 주제, 즉 《겐지이야기, 源氏物語》와 같은 고전을 소재로 한 작품을 세밀하고 정교한 화풍으로 그려냈으나, 점차 화조화와 산수화, 초상화 등도 제작하였다.  도사파의 실질적인 창시자로 알려진 도사 미츠노부(土佐光信, 1434~1525)는 천황의 초상화는 물론 고전 문학과 설화 등을 다룬 두루마리 그림을 남기며 도사파 화풍의 기초를 다졌다. 하지만 그의 뒤를 이은 후계자들은 그만한 발전을 이루지 못하였고, 결국 가노파에게 어용화가(御用畵家)의 자리를 내주었다. 하지만 도사 미츠요시(土佐光吉, 1539~1613)와 그의 손자 도사 미츠오키(土佐光起, 1617~1691)는 도사파 재부흥에 힘썼고, 특히 미츠오키가 에도코로아즈카리를 맡게 되며 도사파의 위용을 높였다. 미
지금, 이런 지식 어때요? 최신 지식 콘텐츠
손끝으로 읽는 한글 점자,
사회과학
손끝으로 읽는 한글 점자, 훈맹정음
1926년 시각 장애인을 위해 만들어진 최초의 6점식 한글 점자. 1926년 송암 박두성(松庵 朴斗星, 1888~1963)이 시각 장애인을 위해 만든 최초의 한글 점자이다. 박두성은 일제강점기였던 1913년부터 장애인교육기관인 제생원 맹아부(현 국립 서울맹학교)의 교사로 재직하며 시각장애인을 가르쳤다. 당시 우리말을 제대로 기록할 수 있는 한글 점자가 없는 것을 안타깝게 생각했던 그는 시각장애인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한글로 된 점자를 만들기로 결심하고, 1920년부터 한글 점자 연구를 시작했다. 1923년에는 제자 8명과 함께 '조선어 점자연구위원회'를 결성하고 비밀리에 한글 창제 원리를 공부하며 한글 점자 고안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마침내 1926년 11월 4일 '눈먼 이들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의미를 지닌 훈맹정음(訓盲正音)을 완성하여 발표하였다. 훈맹정음은 6개(세로 3개, 가로 2개) 점의 요철을 이용한 6점식 점자로, 자음과 모음, 약자, 문장부호 및 숫자까지 모두 63개의 점자로 구성되어 있다. 글자를 쓸 때는 한글의 원리와 같이 초성(자음 첫소리), 중성(모음), 종성(자음 받침)에 해당하는 점자를 순서대로 나열하여 표현한다. 기존에는 4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4점식 점자가 사용됐으나, 한글에만 있는 받침을 표현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훈맹정음』(1926)은 현재 국립한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은 2020년 12월 4일 『훈맹정음』 점자표 및
길 위에서 만난 세상지구촌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