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소포타미아 북부 지역에서 티그리스강 상류를 중심으로 번성한 고대 국가로서, 그 명칭은 중심 도시였던 아수르(Assur) 시(市)에서 유래했다. 1932년 영국의 고고학자 맥스 말로완 경이 니네베(Nineveh) 지역의 지층을 조사하다가 BC 5000년 경에 인류가 거주했던 흔적을 발굴하면서 아시리아 제국시대가 밝혀졌다. 그 후 신석기시대 이후의 문화도 점차 밝혀지고 있다. 당시의 신석기 문화의 중심지는 하수나, 하라프, 사마라였으며, 이 중 하수나(Hassuna)가 고대 아시리아 문화의 중심지로 밝혀졌다. 당시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장악하고 있던 세력은 수메르, 아카드 세력이었다. 이 중 BC 3000년 경부터 메소포타미아의 발전을 선도했던 수메르 문화의 영향을 받아 중심 도시 아수르가 건설되었고, 이 곳을 중심으로 수메르와 셈족 계통의 아카드인이 세력을 확장하고자 정복활동을 시작했다. 당시 아시리아는 수메르어로는 수바르(Subar), 아카드어로는 수바르투(Subar-tu)라고 불렸으며, 셈족 계통은 아니었다. 그러나 수메르, 아카드와 지속적으로 접촉하며 언어, 풍습, 신앙 등이 셈화(化)하였으며, 오랜 기간동안 양 강대국의 침입을 받으며 강건하고 용감한 민족성을 지니게 되었다. 아시리아의 역사는 크게 BC 20 ~15 세기의 초기, BC 15 ~10세기의 중기, BC 911 년 ~ BC 612년의 신-아시리아의 세 시기로 구분된다. 수메르가 멸망기에 접어든 BC 2000년대 초 무렵의 출토품에 쓰인 아시리아어가 아카드어 혹은 수메르어와 전혀 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