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메인 주요 글

주요 아티클

페테르 파울 루벤스

페테르 파울 루벤스

플랑드르의 화가. 바로크 시대 플랑드르 제일의 화가로서 날로 높아가는 명성과 많은 제자들에게 둘러싸여 특유의 화려하고 장대한 예술을 펼쳐나갔다. 현란한 그의 작품은 감각적이고 관능적이며 밝게 타오르는 듯한 색채와 웅대한 구도가 어울려 생기가 넘친다. 독일 베스트팔렌 지겐 출생. 아버지가 정치적인 이유로 지겐으로 피해 있을 때 그곳에서 태어났다. 아버지가 죽자 10세 때 가족과 함께 고향인 안트베르펜으로 돌아와 라틴어 학교에 다녔다. 3년 뒤 14세에 랄랭 백작부인의 시동이 되어 귀족사회의 습속을 익혔고, 화가가 될 뜻을 세웠다. 15세 때 A.노르트(1562∼1641), O.베니우스(1556∼1629) 등에게 그림을 배운 뒤 21세 때인 1598년 당당히 안트베르펜화가조합에 등록, 23세 때인 1600년에 이탈리아 유학의 꿈을 실현시켰다. 이탈리아에 머무는 8년 동안 베네치아·로마 등지에서 고대미술과 르네상스의 거장들의 작품을 연구하고 당시 이탈리아의 바로크화가인 M.카라바조와 카라치파(派)의 영향을 받아 장족의 발전을 이루어 차차 명성을 얻는 한편, 만토바공(公)의 인정을 받아 그의 사절로서 외교적 사명을 띠고 에스파냐로 여행하였다. 1608년 어머니가 위독하다는 소식을 듣고 고향에 왔을 때 이미 어머니가 운명한 뒤였으나, 그는 플랑드르 제일의 화가로서 고향 사람들의 환영을 받았다. 1609년 플랑드르 총독 알브레흐트 대공의 궁정화가가 되었고, 10월에는 명문 집안의 딸 이사벨라 브란트와 결혼하였다. 그 뒤로는 날로 높아가는 명성과 많은 제자들에게 둘러싸여 루벤스 특유의 화려하고 장대한 예술을 펼쳐나갔다. 역사화·종교화를 비롯하여 많은 종류의 제재를

도시-섬인 스비야시스크에 있는 성모승천 대성당과 수도원

도시-섬인 스비야시스크에 있는 성모승천 대성당과 수도원

201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러시아의 문화유적. 스비야시스크는 볼가 강(Volga River)과 스비야가 강(Sviyaga River)의 합류 지점에 위치한 러시아의 작은 마을로 러시아 중동부의 타타르스탄(Tatarstan) 자치 공화국에 속하여 있다. 1551년에 폭군으로 유명한 이반 4세(Ivan the Terrible)에 의해 요새 도시로 설립되었으며 1552년 카잔 포위 작전(siege of Kazan) 당시 러시아 군기지로 활용되었다. 인근에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저수지인 쿠이비셰프 저수지(Kuybyshev Reservoir)가 건설된 이래 섬으로 불리고 있지만 실제로는 도로를 통해 육지와 연결되어 있다. 이곳에 있는 성모 승천 대성당(Assumption Cathedral)과 같은 이름의 수도원은 2017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지정 면적은 3.25㏊ 이며 완충 지역을 포함하면 전체 면적은 모두 11,563.9㏊에 이른다. 성모 승천 대성당과 수도원은 러시아가 동쪽을 향해 영토를 확장할 당시 새로 정복한 이슬람 문화권 지역의 선교와 행정을 위한 지역의 중심지 역할을 맡았으며, 오늘날 모스크바 이외의 지역에 남아 있는 유일한 이반 4세 시대의 건축물로 역사적 가치가 높다. 성모 승천 대성당은 수도원의 중앙에 위치하며 해발 고도 82.54m 지점에 있기 때문에 스비야시스크의 어느 곳에서나 대성당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모스크바 붉은 광장의 상크

슬라이드 바로가기
제중원

제중원

조선 말기인 1885년 서울 재동에 설립된 한국 최초의 근대식 병원. 1885년(고종 22) 4월에 조선 정부가 미국인 호러스 알렌(Horace Newton Allen, 1858~1932)의 건의를 받아 설립한 서양의학 병원이다. 정확한 설립 날짜는 확인되지 않으나 《조선왕조실록》에는 1885년 4월 14일(음력 2월 29일)에 고종이 혜민서(惠民署)와 활인서(活人署)를 대신할 의료기관의 설립이 필요하다는 의정부의 건의를 받아 설치를 허락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당시 의정부가 건의할 때의 명칭은 광혜원(廣惠院, Widespread Relief House)이었으나 설립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명칭을 제중원(濟衆院)으로 바꾸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4월 26일(음력 3월 12일)에 광혜원을 제중원으로 개칭했다고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이 보고했으며, 5월 4일(음력 3월 20일)에는 예전 혜민서와 활인서에 주던 비용을 새로 설치된 제중원으로 옮겨 배정하자는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의 건의를 고종이 승인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제중원은 외아문(外衙門)이라고도 불리는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산하의 독립기구로 설립되었으며, 1894년 갑오개혁(甲午改革) 이후에는 내무아문(內務衙門)의 산하 기구가 되었다. 초기에는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의 독판(督辦)인 김윤식(金允植)이 그 설립과 운영을 관장했으며, 환자 진료는 미국 북장로회 소속의 선교사이자 의사인

포토커뮤니티

지구촌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