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사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鷄龍面) 중장리(中壯里)에 있는 절. 계룡사·계룡갑사·갑사(岬寺)·갑사사(甲士寺)라고도 한다. 420년(백제 구이신왕 1) 고구려에서 온 승려 아도(阿道)가 창건하였다. 505년(무령왕 5) 천불전(千佛般)을 중창하고 556년(위덕왕 3) 혜명(惠明)이 천불전·보광명전·대광명전을 중건하였다. 679년(문무왕 19...
탑사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 마이산 기슭에 있는 사찰이다. 1885년 이갑용(李甲用 1860~1957)이 마이산에 들어와 솔잎을 생식하며 수도하다가 1900년 무렵부터 탑을 쌓기 시작했다. 그는 1920년대 초에 초가 암자를 지어 돌미륵불을 안치하고 불공을 드리기 시작하였으며 1935년에 목조함석지붕의 인법당과 산신각을 지어 부처님을 ...
가평 금강사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천안리의 곡달산에 있는 절. 옛 이름은 고달암(高達菴) 또는 곡암(鵠菴)이다.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천안리에 있는 곡달산(628m)의 가파른 비탈에 자리잡은 절로서 신라 때 창건되었다고 전하지만 확인할 수 없다.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로 화서학파(華西學派)를 연 이항로(李恒老, 1792~1868)가 소년 ...
가평 운곡암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삼회리에 있는 절.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삼회2리 102번지에 있으며, 운곡정사라고도 한다. 고려 말기인 1380년(우왕 6) 원천석(元天錫)이 어지러운 세상을 피해 이곳으로 은거하여 창건한 절로서 운곡(耘谷)은 그의 호이다. 원천석은 이방원(李芳遠)의 스승이었는데, 이방원이 조선 태종으...
경주 불국사 [ Bulguksa Temple, Gyeongju ]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토함산 기슭에 있는 신라시대 절. 2009년 12월 2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대한불교조계종 11교구본사(敎區本寺)의 하나로 그 경내(境內)는 2009년 12월 2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1995년 세계문화유산목록에 등록되었다. 불국사 창건에 대하여는 두 가지 설이 전한다. 그 중 하나는 《불국사고금창기(佛國寺古今創記)》로, 여기에 보면 528년(신라 법흥왕 15) 법흥왕의 어머니 영제부인(迎帝夫人......
고성 화암사 [ ]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신평리에 있는 불교 사찰. 1990년 9월 7일 강원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1990년 9월 7일 강원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769년(신라 혜공왕 5) 진표율사(眞表律使)가 설악산 북쪽 기슭에 창건한 비구니 도량으로, 당시에는 화암사(華巖寺)라고 하였다. 1623년(인조 원년) 소실된 것을 1625년 중건하였다. 1864년(고종 원년) 수바위 아래에 옮겨 중건한 뒤 바위의 이름을 따서 수암사(穗岩寺)로 ......
고양 흥국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지축동에 있는 신라시대에 창건한 사찰. 한미산(漢美山, 일명 노고산) 남동쪽 기슭에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 용주사(龍珠寺)의 말사이다. 661년(신라 문무왕 1) 당대 최고의 고승 원효대사가 흥성암(興聖庵)이란 이름으로 창건한 유서 깊은 사찰이다. 조선 제21대 왕 영조가 자신의 생모 숙빈 ...
괴산 공림사 [ ]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사담리 낙영산에 있는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의 말사(末寺)이다. 신라 경문왕 때 자정선사(慈淨禪師)가 창건하였다. 자정은 국사의 지위를 사양한 뒤 그곳에 초암을 짓고 살았는데, 그의 덕을 추모한 왕이 절을 세우고 공림사라는 사액을 내렸다고 한다. 조선시대인 1399년(정종 1)에 함허(涵虛)가 폐사된 이 절에 법당과 요사......
구례 화엄사 [ Hwaeomsa Temple, Gurye ]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지리산 노고단(老姑壇) 남서쪽에 있는 사찰. 2009년 12월 2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2009년 12월 2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이다. 창건에 관한 상세한 기록은 전하지 않으나 《사적기(寺蹟記)》에 따르면 544년(신라 진흥왕 5년, 백제 성왕 22년, 고구려 안원왕 14년)에 인도 승려 연기(緣起)가 세웠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는 시대는 분명치 ......
군위 법주사 경상북도 군위군 소보면에 있는 사찰이다. 신라 소지왕 15년(493)에 심지왕사 또는 은점조사가 창건했다고 알려져 있다. 고려시대에 보조국사 지눌이 주석(駐錫)하고, 일연이 총림(叢林)을 세웠다 한다. 조선시대 중기에 화재로 법당이 소실되자 1623년 보광명전을 중건하였다. 절에는 고려시대 석탑인 법주사 오층석탑(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27호)과 국내에서 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