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도 경상남도 통영시 욕지면 동항리(東港里)에 딸린 섬. 면적 0.56㎢, 해안선길이 4.5㎞, 최고점 242m, 인구 27명(1999)이다. 경상남도 유인도 중 육지와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며, 통영시에서 남쪽으로 35㎞ 해상에 위치한다. 100여 년 전 욕지도(欲知島)에 살던 김경팔(金敬八)이 무인도인 이 섬에 땔감을 구하러 왔다가 절벽 ...
내도 경상남도 거제시 일운면(一運面) 와현리(臥峴里)에 속한 섬. 면적 0.256㎢, 해안선길이 3.9㎞, 최고점 131m, 인구 33명(1999)이다. 안섬·모자섬이라고도 한다. 구조라리(舊助羅里)의 입구에 있으며, 와현리에서 남쪽으로 300m 해상에 위치한다. 부근에 외도(外島)와 서이말 등대가 있다. 외도(바깥섬)의 안에 있다 하여 내도라고 하였으며 옛날 대마도 가까이에 있던 외도(남자섬)가 ......
송도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閑山面)에 딸린 섬. 면적 0.221㎢, 해안선길이 2㎞이다.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로, 통영항에서 남동쪽으로 9㎞ 해상에 위치하며, 부근에 한산도(閑山島)·좌도·추봉도(秋蜂島)·죽도(竹島) 등이 있다. 북서쪽에 구릉지가 형성되어 있고, 남동쪽 해안은 비교적 평탄한 편이다. 북쪽 해안과 서쪽 만의 남안에는 해식애가 발달하였고, 섬의 동서남......
송도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鎭東面) 진동리(鎭東里)에 딸린 섬. 면적은 0.18㎢, 해안선길이 3.3㎞이다. 면사무소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2㎞ 해상에 위치하며, 부근에 양도(羊島)·수우도(水牛島) 등이 있다. 섬 전체가 소나무 숲으로 이루어져 송도라는 이름이 붙었다. 일부 지역에서 농사가 이루어지고, 수산물로 붕장어·도다리 등이 많이 잡히며, 주로 피조개와 굴 양식을 한다...
수도 경상남도 창원시 웅천동(熊川洞)에 딸린 섬. 면적 0.466㎢, 해안선길이 3.1㎞, 인구 372명(1999)이다. 창원시에서 남동쪽으로 7㎞ 해상에 위치하며, 진해만의 동쪽 수도(水道)를 가로막고 있다. 수질이 좋은 지하수가 솟아 '물섬'이라고 하다가 한자로 표기하면서 수도로 바뀌었다. 1908년 창원군에 편입되었고, 1973년 진해시 웅천동에 편입되어 현재에 이르......
연도 경상남도 창원시에 딸린 섬. 면적 0.53㎢, 해안선길이 2.7㎞, 최고점 107m, 인구 253명(1999)이다. 진해항에서 남동쪽으로 14㎞ 해상에 위치하며, 북쪽에 송도(松島), 남동쪽에 가덕도(加德島)와 병산열도가 있다. 섬 전체가 가파른 구릉으로 이루어졌고, 해안에는 해식애가 발달하였다. 북동쪽 해안 일부에는 사빈(砂濱)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곳에 ......
우도 경상남도 통영시 욕지면(欲知面) 연화리(蓮花里)에 딸린 섬. 면적 0.442㎢, 해안선길이 4㎞, 인구 60명(1999)이다. 통영시에서 남서쪽으로 20㎞, 욕지도(慾知島)에서 동쪽으로 8㎞ 지점에 위치하며, 부근에 연화도·적도(赤島) 등이 있다. 섬의 형태가 누워 있는 소의 모습을 닮아 우도라는 이름이 붙었다. 섬은 전체적으로 구릉의 기복이 크지만 비교적 잘 개간되어 주민들이 농업과 ......
장도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栗村面) 장도리(獐島里)에 딸린 섬. 노루섬이라고도 한다. 율촌면사무소에서 동북쪽으로 12㎞ 해상에 자리잡고 있으며, 남쪽에 송도(松島)·대륵도(大勒島)·소륵도(小勒島)가 있다. 섬의 형태가 노루의 모습을 닮아 장도라고 하였다. 몇 년 전까지도 면적 0.4㎢에 수백 명의 주민이 거주하던 유인도였으나 인...
저도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龜山面) 구복리(龜伏里)에 딸린 섬. '도섬'이라고도 한다. 남해로 돌출한 구산반도의 서쪽 해상에 있으며, 섬의 모양이 돼지가 누워 있는 모습과 비슷하다고 하여 저도라는 이름이 붙었다.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뻗어 있으며, 구릉성 산지를 이룬다. 북동쪽 해안은 경사가 완만하고 작은 만입(灣入)이 발달...
저도 [ ]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유호리에 속한 섬. 면적 43만 4181㎡, 해안선 길이는 3150m이다. 거제도 북단에서 1㎞ 정도 떨어져 있는 섬으로, 행정구역상으로는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유호리에 속한다. 1779년(조선 영조 45) 방리(坊里) 개편 때 하청면에 속한 12방(坊) 가운데 하나가 되었고, 1889년(고종 26) 리제(里制) 개편 때는 하청면의 15개 리에 속하였다. 1909......